1. 과학이 예측할 수 있는 지진
에즈기 카라소젠(Ezgi Karasozen)은 튀르키예 남동부에서 거대한 지진이 발생했다는 이메일 알림을 받았다. 그러자 그녀는 눈물을 터트렸다. 지진학자인 카라소젠은 미국 콜로라도에 살고 있지만, 튀르키예의 수도인 앙카라에서 자랐으며, 고국의 지진에 대해서 자세히 연구해 오고 있었다. 그녀는 소식을 듣자마자 진도 7.8의 지진은 참사를 의미한다는 것을 알았다.
대부분의 지진학자는 세계의 우려스러운 지역들을 인지하고 있다. 혹시 거대한 지진 소식이라도 들리면 가슴이 철렁하고 내려앉는 핫 스폿들이다. 이러한 우려는 비정상적으로 오랫동안 뒤틀리지 않은 단층대(斷層帶), 소위 지진공백역(地震空白域, seismic gap)이라는 지대에서 더욱 심각하다. 오랫동안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은 곳이기에 사람들의 경계심이 풀려 있을 수 있다는 것이다.
지난 2월 6일
[1]에 지진이 발생한 동-아나톨리아(East Anatolian) 단층의 경우, 과학자들과 정부 관계자들은 예의 주시하고 있었지만 적어도 지난 세기에는 끔찍한 지진을 일으키지 않았다. 튀르키예는 지진의 위험으로부터 건물을 보호하기 위한 건축 법규를 시행해 왔다. 이번 비극은 그 법규가 엄격하게 적용되고 있지 않다는 과학자들의 오랜 우려를 다시금 부각시켰다.
지구과학자들의 입장에서 보자면, 대형 지진으로 인한 참사는 건축 규제를 통해 상당 부분 예방할 수 있다. 비극은 그리스 신화의 카산드라(Cassandra)
[2]의 예언처럼 명확하다. 그러나 인간의 행동과 투자는 경험에 기반하는 경우가 많다. 그것도 겨우 우리 일생 혹은 겨우 몇 세대 동안의 경험에 기반한다. 국민을 보호하기 위한 건축 규제 시행보다, 더욱 시급한 문제들이 전면으로 내세워지는 이유이다. 규제가 무시될 수도 있고, 오래된 구조물이 취약한 상태로 유지될 수도 있다는 뜻이다.
“바로 그것이 지진의 매우 극악한 부분입니다. 어떤 단층은 천연덕스럽게 아주 오랜 세대를 기다리며 아무런 활동도 하지 않습니다. 그러다가 불과 몇 초에서 몇 분 만에 온통 지옥이 터져 버립니다.” 워싱턴대학교의 지진학자 해럴드 토빈(Harold Tobin)의 말이다. “단층은 다음번 지진까지 몇백 년 동안 활동하지 않는 게 정상입니다. 따라서 인간에게는 그에 대한 기억이 없을 수도 있는 거죠.”
게다가 사람들은 특정한 위험을 예측하려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다른 것들은 의도치 않게 사각지대에 놓일 수 있다. 과학자들은 오랫동안 캘리포니아의 샌 안드레아스 단층 어딘가에서 거대한 지진이 발생할 거라는 예측을 해 왔다. 1990년대 이후로 캘리포니아에서 진도 7 수준의 지진이 여러 차례 있었지만, 샌 안드레아스 단층에서는 아니었다.
“우리는 그런 지역들을 오랜 시간 지켜봐 왔습니다. 그 지역들이 현재는 잠잠하지만, 장전된 총처럼 언제든 터질 수 있는 상태로 보이기 때문입니다. ‘그게 언제 터질 것인가?’라고 말이죠.” 메릴랜드에 거주하는 지진학자 웬디 보헌(Wendy Bohon)의 말이다. “이렇게 잠을 자면서 서서히 힘과 긴장을 축적해가고 있는 거인들은 전 세계에 있습니다. 그들이 그렇게 위협적이진 않기 때문에, 우리는 그다지 관심을 기울이지 않습니다. 심지어 그곳이 지진의 위험이 높은 지역이라는 걸 우리가 알고 있어도요.”
튀르키예는 지진 활동이 활발한 지역으로, 지각판의 세 조각이 서로를 밀치는 지점에 위치한다. 과학자들은 오랫동안 튀르키예에 있는 또 다른 단층인 북-아나톨리아(North Anatolian) 단층에도 관심을 가져왔다. 이 단층을 따라 대형 지진들이 서쪽을 향해 돌진했고, 전 세계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도시 가운데 하나인 이스탄불의 턱밑, 마르마라해(Sea of Marmara) 아래에 명확한 지진공백역을 남겼다.
과학자들은 향후 수십 년 안에 이 지역에서 거대한 지진이 발생할 가능성을 계산하고 또 계산했다. 그리고 이것이 단지 언제가 될 것이냐는 시간의 문제일 뿐, 재앙이 과연 닥칠 것이냐의 문제는 아니라고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