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반세기 만의 달세계 여행
미국이 다시 달을 찾아간다. 아르테미스 1호(Artemis 1)는 2022년에 발사되어 무인으로 달의 궤도를 성공적으로 돌아 거의 아무런 문제 없이 다시 지구로 돌아왔다. 이제껏 만들어진 가장 거대한 로켓인 미국 항공우주국(NASA·나사)의 우주 발사 시스템(SLS)을 이용해 추진력을 얻었다. 달 착륙을 위한 드레스 리허설이라고 할 수 있는 아르테미스 2호는 2024년의 임무를 위해 준비하고 있다. 그다음 해에 예정된 아르테미스 3호는 다시 달 표면에 우주 비행사들을 데려갈 예정이다. 인간이 최초로 그곳에 발을 디딘 이후 50여 년 만의 일이 될 것이다.
아폴로 프로젝트를 통해 1960년대 말부터 1970년대 초까지 모두 백인 남성으로 구성된 12명이 달에 다녀왔다. 이번에 아르테미스가 승무원을 데려간다면, 여성이 달 위를 걸을 것이고 유색 인종 한 명도 그렇게 할 것이다. 그리고 그들은 아마 동일한 사람일 것이다.
2022년 10월 5일, 니콜 아우나푸 만(Nicole Aunapu Mann)은 국제우주정거장(ISS)에서 5개월 동안의 임무를 개시하면서 우주에 나간 최초의 미국 원주민 여성이 되었다. 오늘날 캘리포니아 북서부에 거주하는 와일라키(Wailaki) 부족 출신의 아우나푸 만은 ISS로 떠나기 전, 어렸을 때만 해도 우주 비행사가 된다는 게 불가능해 보였다고 말했다. 그녀는 자신의 인종과 성별을 언급하며 이렇게 말했다. “저는 1977년에 태어났는데, 당시 제 생각에 그건 불가능의 영역이었어요.”
아우나푸 만은 아나폴리스(Annapolis)의 미국 해군사관학교를 졸업한 뒤 미 해병대에 입대했다. 그리고 이라크와 아프가니스탄에서 전투기를 몰았다. 2013년에 그녀는 나사 우주 비행사 훈련 프로그램에 선발되었다. 그녀는 SLS 발사체 개발, 그리고 거기에 실려서 인간을 달에 데려다줄 오리온(Orion) 우주선 개발에 모두 참여했다. 이번에 ISS에서 돌아오면 그녀는 달에 직접 발을 내디딜 후보 가운데 한 명이 될 것이다.
아우나푸 만은 달에 발을 내딛는 최초의 여성이 되기 위해서 치열한 경쟁을 거쳐야 한다. 나사는 이번의 달 재방문을 준비하는 우주 비행사 그룹인 아르테미스 팀의 초기 멤버 18명을 이미 발표했다. 그중 아홉 명은 여성이고, 아우나푸 만도 그 아홉 명 중 하나이다. 거기에는 최초로 3인 전원 여성 우주 유영(spacewalk)에 참여했던 크리스티나 코크(Christina Koch), 이미 우주에서 204일의 활동을 마친 노련한 앤 맥클레인(Anne McClain), 그리고 국제 럭비리그 선수 출신이며 2022년 4월에 아프리카계 미국인으로는 처음으로 ISS에 근무하는 기록을 세운 제시카 왓킨스(Jessica Watkins)도 포함되어 있다.
“우리는 달 위를 걷게 될 최초의 여성이 누가 될지는 아직 알지 못합니다.” 워싱턴DC에 있는 국립항공우주박물관(NASM)과 매사추세츠에 있는 하버드-스미스소니언천체물리학센터(CfA) 두 곳에서 동시에 큐레이터를 맡고 있는 에밀리 마골리스(Emily Margolis)의 말이다. “하지만 그녀는 놀라울 정도로 숙련되었을 것이고, 임무를 잘 수행할 것입니다. 아르테미스 팀에 있는 여성들은 모두 스템(STEM·과학·기술·공학·수학) 분야에서 고급 학위를 갖고 있으며, 우주왕복선 비행사와 민간항공사의 기장, 훈장을 받은 군 조종사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2. 날아라, 샐리 라이드
나사, 더 나아가 미국은 그들이 우주에서 거둔 성과에도 불구하고 여성을 우주로 보내는 일에 있어서는 많은 난관을 겪어 왔다. “당연히 여성들이 우주 비행에 관심이 적다거나 능력이 부족한 건 아니었습니다.” 마골리스는 말했다. “나사가 우주 비행단에 여성을 처음 받아들인 건 1978년이었습니다. 기관이 설립한 지 20년이나 지나서였죠. 나사가 그전에도 우주 비행사 후보에 여성들이 지원하는 걸 명시적으로 금지하지는 않았지만, 자격 요건을 통해 암묵적으로 여성의 참여를 배제했습니다. 당시에는 오직 군에 있는 테스트 파일럿에게만 자격이 있었는데, 군부가 해당 직군에서 여성들을 차단했습니다. 그러나 여성에게 적합한 직업이 무엇인가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바뀌고 시간이 지나면서, 우주 비행사에 대한 자격 요건도 바뀌었습니다. 나사가 처음으로 우주 왕복선 비행사를 공개 모집했을 때, 그들은 사상 최초로 여성을 명시해놓고 선발했습니다.” 1978년의 일이었다.
일부 논평가들은 나사가 여성 우주 비행사들을 우주로 내보내기 꺼리던 이유가, 만약 끔찍한 사고라도 발생하고 하필 거기에 여성이 포함되어 있을 경우 역풍이 불어닥칠 것을 우려했기 때문이라고 생각했다. 불행하게도 1986년에 실제로 그런 상황이 발생했다. 미국인들 중에서 두 명의 국회의원
[1]을 제외하고 우주 임무를 수행한 최초의 민간인이었던 현직 교사 크리스타 매컬리프(Christa McAuliffe)가 우주 왕복선 챌린저호 폭발 사고로 사망한 것이다. 챌린저 우주 왕복선은 발사 73초 후에 외부의 고체연료 추진기 한 개가 고장 나면서 폭발했다.
그녀의 죽음은 거의 군 소속의 전문가였던 다른 동료 우주 비행사들보다도, 미국의 대중에게 거대한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 마골리스는 그녀의 성별 때문이 아니라 그녀가 교사이자 민간인이었기 때문에 충격이 더욱 컸을 것이라고 말한다. “전문 우주 비행사였던 주디 레스닉(Judy Resnik) 역시 그 사고로 목숨을 잃었습니다.” 마골리스의 지적이다. “매컬리프의 죽음이 큰 영향을 미쳤던 이유는, 그녀가 우주로 나간 미국 최초의 교사가 될 예정이었기 때문입니다. 그녀의 여정은 매우 많은 기대를 받았습니다. 수많은 교사와 학생들이 발사 장면을 텔레비전 생중계로 지켜봤습니다. 그때가 학교에서 수업이 있는 날이었기 때문입니다. 그런 과정에서 추락한 것이고, 그래서 그토록 충격이었던 겁니다.”
매컬리프의 죽음으로 인해 결국 나사가 추진하던 ‘우주의 민간인(Civilians in Space)’ 프로그램이 취소되었다. “나사는 우주 탐사가 민간인들에 너무 위험해서 지속할 수 없다고 생각했습니다.” 마골리스의 말이다. “미국은 언제나 자국의 우주 비행사들은 안전하게 지구로 귀환 시켰습니다. 그러니 승무원들의 죽음은 충격이었죠. 대중들은 우주 왕복선이 궤도 비행을 안전하며 편안하게 해주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챌린저호는 우주 비행의 위험성을 비극적으로 상기시켜 주었습니다.”
《뉴 사이언티스트》는 “매컬리프의 죽음이 특히나 고통스러웠다”고 썼다. “우주 비행사는 많은 일반인이 꿈꾸는 대상이다. 그것은 웃음을 짓게 만들어야 한다. 그러나 뉴햄프셔 교사였던 매컬리프의 사례로 인해 이제 나사는 우주로 보내기로 선발한 사람들을 보호해야 한다는 엄청난 압박을 받게 되었다. 어쩌면 다시는 민간인을 보내지 않기로 선택할지도 모른다.” 그들의 선택은 반대였지만, 자기반성은 가혹했다.
우주로 나간 최초의 미국인 여성은 샐리 라이드(Sally Ride)였다. 아이러니하게도 그녀는 참사가 발생하기 3년 전이었던 1983년 6월 18일, 그것과 동일한 챌린저 우주 왕복선을 타고 궤도를 비행했다. 당시에 라이드는 나사가 새로운 우주 비행사를 찾고 있으며 여성들이 지원하기를 바란다는 신문 보도를 보고 그 요청에 응했다. 라이드가 비행을 하기 전, 그녀에게는 “이 비행이 당신의 생식 기관에 영향을 미칠까요?”와 같은 다소 직설적인 질문을 받았다. 그리고 그녀가 성공적으로 귀환함으로써 이런 질문은 불식되었다. 참고로 미국 최초의 우주 비행사였던 앨런 셰퍼드(Alan Shepard)와 같은 남성 우주 비행사들은 이런 질문을 받지 않았다. “작업 중에 무언가 잘못되면 당신은 울음을 터뜨리나요?”처럼 다분히 바보 같은 질문들도 마찬가지였다. 그녀는 또한 화장품 가방을 가져가는 걸 거부했다. 긍정적인 기록을 보자면, 라이드의 비행은 미국을 비롯한 여러 나라에서 티셔츠에 ‘날아라, 샐리 라이드(Ride, Sally Ride)’라는 페미니즘적인 슬로건을 새기게 만들었다.
3. 세계 최초의 여성 우주 비행사, 발렌티나 테레시코바
샐리 라이드가 미국인으로서는 우주로 나간 최초의 여성이었지만, 여성 전체로서는 세 번째였다. 라이드가 플로리다의 케네디 우주 센터에서 발사되기 20년 전, 소련 공군의 중위였던 발렌티나 테레시코바(Valentina Tereshkova)가 보스토크 6호(Vostok 6)를 타고 궤도에 오르면서 우주를 비행한 최초의 여성이 되었다. 그녀의 비행은 유리 가가린(Yuri Gagarin)이 남성 최초로 같은 일을 해낸 지 불과 2년 만이었던 1963년 6월 16일에 이뤄졌다.
테레시코바는 당시 페미니즘의 아이콘으로 추앙 받았으며, 지금도 여전히 그러하다. 그렇지만 그녀의 비행은 많은 이들이 바랐던 우주 비행에서의 여성 해방으로 이어지지는 않았다. 그리고 상당히 놀라운 사실은, 지금까지도 그녀가 우주선을 타고 단독으로 비행한 유일한 여성이자, 우주를 비행했던 최연소의 여성으로 남아 있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