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프리고진의 죽음
저주받은 엠브라에르(Embraer) 제트기의 탑승 명단에는 예브게니 프리고진(Yevgeny Prigozhin) 이외에도 다른 사람이 더 있었다. 프리고진의 최측근 군부 및 민간인 동료, 바그너(Wagner) 그룹의 베테랑 지휘관도 이름을 올렸다. 그들의 죽음으로 인해 바그너 그룹이라는 용병 집단의 지도력에는 공백이 생겼다. 그들은 곤란하면서도 불확실한 미래에 처해 있다. 비행기 폭파로 인해 감히 블라디미르 푸틴에게 대들고 쿠데타를 시도했던 한 사람만이 아니라, 반란을 주도할 것으로 예상되는 다른 사람들까지도 확실히 제거되었다. 바그너 그룹이 사실상 참수된 것이다.
바그너 그룹의 최고위층이 제거되면서 과연 중동과 아프리카에서의 수익성 높은 군사 작전을 누가 차지할 것인지에 대한 문제도 떠오르고 있다. 크렘린을 비롯한 우군의 손에 넘겨질 가능성도 제기된다. 러시아 내 반대파 소식통에 의하면, 프리고진의 아내인 류보프(Lyubov)는 현재 인도에서 휴가를 보내고 있다. 그녀가 남편의 사업에서 금전적으로 어떤 이해관계가 있고 무엇을 상속받을 것인지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
이 비행기에 탐승한 사람들 중에서는 바그너 그룹의 공동 설립자인 드미트리 우트킨(Dmitry Utkin)도 있다. 사실 바그너는 원래 그의 콜사인(call sign)이었으며, 나중에 그룹의 정식 명칭으로 채택된 것이다. 참고로 그는 아돌프 히틀러가 가장 좋아하던 작곡가
[1]의 이름을 따 자신의 콜사인을 붙였다. 전직 군부 정보통이자 스페츠나츠(Spetsnatz·특수부대) 장교였던 그는 프리고진의 오른팔로 간주되었으며, 지난 6월의 모스크바 진격을 조직했던 인물로 여겨진다.
또 다른 탑승객인 발레리 체칼로프(Valery Chekalov)는 프리고진과 바그너의 재정 문제를 담당하는 핵심 인사로 해외의 모든 민간 프로젝트와 그룹의 물류 지원을 관장하고 있었다. 그는 프리고진이 세운 콩코드(Concord) 그룹의 고위 임원이었는데, 콩코드는 러시아 정부로부터 다수의 계약을 수주해 왔다. 그러한 계약들 가운데에는 식음료 사업도 포함되어 있었는데, 그 덕분에 바그너의 수장인 프리고진에게 ‘푸틴의 요리사’라는 별명이 붙게 되었다. 체칼로프는 네바 JSC(Neva JSC)를 이끌었는데, 이 회사가 소유한 에브로폴리스 유한회사(Evro Polis LLC)는 바그너가 시리아와 아프리카에서 추진하는 모든 프로젝트와 관련되어 있었다.
‘마카르(Makar)’라는 군용 콜사인을 갖고 있던 예브게니 마카랸(Yevgeny Makaryan)과 ‘케드르(Kedr)’라는 콜사인의 세르게이 프로푸스틴(Sergey Propustin)도 모두 바그너의 경험 많은 전사였다. 그들은 우크라이나와 시리아를 포함하여 그룹의 수많은 임무를 수행했다. 관련 보도에 따르면 프로푸스틴은 프리고진의 개인 경호원들을 감독했다고 한다. 러시아를 연구하는 사람들은 (이번 사고로 희생된) 니콜라이 마투세에프(Nikolai Matuseev)가 시리아에서 복무했던 니콜라이 마투세비치(Nikolai Matusevich)일 가능성이 있다고 믿는다.
프리고진은 한때 알렉산드르 루카셴코(Aleksandr Lukashenko) 대통령이 중재한 계약하에 벨라루스로 이동할 것으로 여겨졌다. 참고로 루카셴코는 지난 6월의 반란을 끝낸 인물이다. 그런데 프리고진은 이동이 자유로워 보였고, 심지어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푸틴이 아프리카의 지도자들을 위해 주최한 정상회담에 모습을 드러내기도 했다. 이번 주 초에는 아프리카에서 촬영한 것으로 여겨지는 프리고진의 모습이 담긴 영상이 게시되었는데, 그는 바그너가 그곳에서 열심히 일하고 있다고 선언했다.
사람들은 프리고진의 역할이 지나치게 중요해져서 크렘린에 의해 축출되거나 배제될 수 없을 것이라고 여겼다. 그러나 이는 그의 정적이 퍼트리려고 준비했던 그림인 것으로 보인다. 그러는 동안 그들은 프리고진을 현실에서 영원히 제거하려고 계획하고 있던 것 같다.
“프리고진이 푸틴에게 맞서 도전한 뒤에도 그가 자유롭게 돌아다닐 수 있었던 이유에 대한 의구심이 있었습니다. 저는 이제 우리가 그 답을 알아냈다고 생각합니다.” 서방의 어느 안보 관계자의 말이다. “만약 이것이 계획된 공격이라면, 그것을 누가 계획했든 그 목표 대상 모두를 공격에 취약한 한곳에 모으려 했을 겁니다. 가령 비행기 한 대처럼 말이죠. 한 가지 아주 이상한 점은, 왜 최고위층 모두가 동일한 비행기를 타고 이동했느냐는 겁니다. 안보 분야에서는 ‘절대로 해서는 안 되는 일’인데 말입니다. 아마도 그들이 기고만장했거나, 아니면 그렇게 해도 된다는 어떤 보증이 있었을 겁니다.”
2. 바그너 그룹의 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