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10월 18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이스라엘을 방문해 베냐민 네타냐후 총리와 인사하고 있다. 사진: AP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중동 문제에 휘말렸다. 아이러니한 일이다. 바이든은 버락 오바마 정부에서 부통령을 지냈다. 당시 바이든은 오바마의 중동 평화 구상이 출범하자마자 무너지는 것을 목격하면서 자신이 중동에서 할 수 있는 일이 많지 않다는 걸 직감했다. 그래서 바이든은 2021년 1월 대통령에 취임하면서 오바마나 도널드 트럼프와 달리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을 조정할 특사도 임명하지 않았다.
기대대로 되도록 관리하는 게 아니라 기대 자체를 없애는 게 중요했다. 백악관 잔디밭에서 평화 회의도, 캠프 데이비드 협정도, 조약도 체결되지 않아야 했다. 바이든은 여러모로 전통적인 민주당원이지만, 오바마와 빌 클린턴과 지미 카터의 전략을 따르지 않고 무대를 떠났다. 대신 바이든은 2020년에 트럼프가 주도해 체결된 아브라함 협정
[1]을 승계했다. 또한 예루살렘을 이스라엘의 수도로 공식 인정한 트럼프의 논쟁적이고 도발적인 결정을 유지했다. 어느 정도 예정된 일이었다.
그러나 모든 미국 대통령들은 그 전쟁 이후 중동이 피할 수 없는 문제라는 것을 알게 됐다. ‘축복받은 중재자(peacemaker)’가 되는 데 별 관심이 없던 대통령들도 중동 지역이 때때로 그들의 삶에 극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그 비극적인 일은 2001년 9월 11일에 일어났다. 클린턴 정부는 임기 내내 평화 이니셔티브를 추진했고, 그 이후에 집권한 조지 W. 부시는 국내 문제에 집중하고 싶었다. 그러나 이내 부시는 과거에는 상상조차 할 수 없던 규모의 이슬람 테러에 직면했다. 세계무역센터와 펜타곤, 국회의사당 같은 미국의 심장부가 공격받은 것이다.
취임 8개월 만에 벌어진 일이었다. 부시는 오사마 빈 라덴을 수색하고 아프가니스탄에서 ‘테러와의 전쟁’을 치르면서 대통령 임기를 보내야 했다. 이후 이라크까지 전쟁이 확대됐다. 그 결과가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는데, 9.11 테러의 기원은 부분적으로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의 분쟁에 있다. 빈 라덴이 요구한 사항 중 하나가 이스라엘의 종말이었다. 빈 라덴은 2002년 ‘미국에 보내는 편지’에서 이렇게 썼다.
“유대인들이 토라
[2]에 약속된 대로 팔레스타인에 대한 역사적 권리가 있다는 조작된 거짓말을 반복하는 데 아직 지치지 않고 있다는 사실에 웃음과 눈물이 교차한다. 이런 유대인의 주장에 이의를 제기하는 사람은 반유대주의라 공격받는다. 팔레스타인이 흘리는 피는 똑같이 갚아 줘야 한다. 팔레스타인 사람들은 저절로 울지 않고, 여자는 저절로 과부가 되지 않고, 자식은 저절로 고아가 되지 않는다. 이걸 알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