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코닉 건축에 관심을 갖게 된 계기는 뉴욕 구겐하임 미술관이었다. 20세기 건축의 명작은 워낙 유명하기도 했지만 압도하는 조형성은 특별한 설명이 필요 없었다. 디자인은 보조적인 도구가 아니었고 건축은 그 자체로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대가의 작품은 너무나 멋지면서도 한편으로는 범접할 수 없는 다른 세계에 존재하는 듯 고고했다.
10여 년의 시간이 지나 영국의 옛 공업 도시에서 아이코닉한 건축들을 만났다. 여왕이 사는 고전적인 나라에 자리 잡은 특이한 현대적인 건축들은 모두 무엇인가를 말하고 있었다. 화려했던 과거를 뒤로하고 미래를 향해 일어서겠다는 일종의 선언으로 읽혔다. 쇠락한 공업 지역에서 패셔너블한 쇼핑의 도시로, 문화적 영감을 주는 환상적인 장소로 달라지고 있다는 이야기였다. 화려한 외관으로 발신하고 있는 강렬한 이미지는 미래로 가는 길의 선봉에서 사람들을 끌어들이려는 것 같았다. 물론 관광지로서의 성패는 장담할 수 없다. 주목받을 수도 있고, 처참하게 잊힐 수도 있다. 그럼에도 아이코닉 건축은 해당 지역이, 장소가 꿈꾸는 이상적 미래를 그려 내는 상징으로 남는다.
아이코닉 건축이 활발하게 등장하고 있는 영국의 대표적인 사례들을 소개한다. 소개될 일곱 개 사례는 1997년 이후의 건축으로 뉴스 및 관련 도서 등에서 빌바오 효과를 목적으로 건립된 것으로 소개되고 있는 건축들이다.
강력하고도 현대적인 웨일스의 것; 웨일스 밀레니엄 센터
유나이티드 킹덤(United Kingdom)이라는 국가명에서 알 수 있듯 영국은 네 개의 나라로 구성되어 있다. 영국인들은 구성국들을 홈 네이션스(home nations)라고 부르는데, 잉글랜드(왕국), 스코틀랜드(왕국), 웨일스(공국), 북아일랜드(지방)로 나뉜다. 이 중 웨일스는 1272년 영국에 함락되어 웨일스 공(prince of wales)의 지위를 에드워드 2세에게 넘겨주면서 잉글랜드 왕실에 종속되었다. 하지만 그 후에도 웨일스 지방은 특유의 지역색을 이어 오고 있다. 웨일스에서 웨일스어(Welsh)는 영어와 함께 공용어로 쓰인다. 영어를 쓰는 웨일스인들도 독특한 지역 발음을 사용하고 있어서 표준 영어를 사용하는 사람과 의사소통이 원활하지 않을 정도다. 웨일스의 수도는 카디프(Cardiff)로 런던에서는 기차로 두 시간 정도 떨어진 동쪽에 있다. 카디프의 베이(bay) 지역은 지리적인 이점으로 항구가 자리 잡고 있으며 석탄 산업 및 광업이 번창했다. 하지만 굴뚝 산업이 쇠락하면서 한적하고 낙후된 곳으로 인식되기 시작했다.
1987년 영국 정부의 재개발 계획으로 방파제와 주택, 업무 시설이 건립되고, 공원과 함께 친수 공간이 조성되면서 카디프항을 다시 세계의 지도에 올린다는 목표하에 마케팅 및 이미지 개선 사업이 진행됐다. 결과적으로 고용이 증가하고 인구가 늘어나 도시가 활성화됐다.
[1]
웨일스 밀레니엄 센터(Wales Millenium Centre)는 이러한 지역 재개발의 일환으로 2009년 건립된 종합 공연장이다. 웨일스 국립 발레단의 본거지이며, 뮤지컬, 연극, 각종 이벤트가 연중 열린다. 영국의 공상 과학 드라마인 〈닥터 후(Doctor Who)〉의 촬영지로 유명해졌다.
웨일스 밀레니엄 센터의 디자인은 전략적으로 웨일스 문화를 강화하는 새로운 이미지였다. ‘세계적으로 훌륭하며 필연적으로 웨일스의 것(Unmistakably Welsh and internationally outstanding)’이라는 비전 아래 국제 공모를 진행했지만 당선된 스타 건축가 자하 하디드의 디자인은 예산 초과와 웨일스의 아이덴티티를 표현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배제되었다. 대신 지역에서 유년 시절을 보낸 건축가 조너선 애덤스(Jonathan Adams)를 통해 새로운 디자인을 만들었다. 웨일스의 아이덴티티를 표현한 이미지는 도시 재생에 긍정적인 영향을 줬다.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