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을 위한 집
2화

북저널리즘 인사이드; 지금 여기 사는 즐거움

7년째 혼자 살고 있다. 6평 남짓한 원룸에서 몇 달 전 10평짜리 집으로 옮겼다. 완전한 내 집은 아니다. 다달이 월세를 내며 2년 동안 빌리기로 한 공간이다. 이사 첫날 가장 먼저 한 일은 남의 집 ‘랜선 집들이’ 참석이었다. 내 집을 꾸미기 위해서다. SNS에 #원룸꾸미기를 검색하면 수많은 집 사진이 쏟아진다. ‘국민템’으로 인정받은 소품들의 정보도 다 나와 있다. 모노톤의 가구에 조명까지 달아 놓은 내 방을 보고 부모님은 말씀하셨다. “어차피 살다 곧 나갈 건데 뭐 하러 꾸미냐”고.

과거 인테리어는 집을 살 때까지 미루는 게 일반적이었다. 전세나 월세살이를 하는 경우 벽지나 장판 정도만 바꿨다. 하지만 치솟는 집값에 내 집 마련의 꿈은 희미해지고 있다. 돈을 영혼까지 끌어모아도 ‘똘똘한 한 채’는 남의 일이다. 6월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은 최저 임금을 43년 모아야 서울에서 아파트를 살 수 있다고 분석했다. 밀레니얼은 불확실한 미래 대신 오늘을 택한다. 남의 집이라도, 지금 내가 사는 공간에 정성을 들이고 싶어 한다. 언제 떠나야 할지 모르지만 사는 동안이라도 안락해지고 싶다는 욕구다.

밀레니얼은 집 꾸미기에서 나다운 삶의 시작점을 찾는다. 집과 관련된 모든 것들을 혼자 결정해야 하지만, 귀찮아하지 않는다. 이 과정에서 취향을 명확히 발견하고 담아낸다. 나아가 가장 사적인 공간의 사진과 영상을 SNS에 공유한다. 저자는 오늘날 밀레니얼이 자신을 가장 잘 표현하는 매개체를 혼자 사는 ‘집’이라고 봤다. 집은 일터이자 놀이터이고, 안식처다. 이 공간이 가장 나다울 때 일상이 행복해진다.

이세영 에디터
추천 콘텐츠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