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데믹이 닥치면서 세계 경제가 몇 년 동안 침체 상태에 머물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된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었다. 미국은 지금 이런 비관론에 맞서고 있다. 지난여름의 암울한 성장 전망을 넘어 혼합 경제 정책이라는 연료에 불을 붙였고, 여기에 재정적인 연료까지 추가했다. 조 바이든 대통령은 《이코노미스트》가 편집을 마감한 이후 1조 9000억 달러(2150조 원)에 달하는 경기 부양 법안에 서명할 것으로 보인다.
[1] 이로써 지난해 12월 이후 통과된 판데믹 관련 지출 총액은 거의 3조 달러(3394조 원, 위기 이전 GDP의 14퍼센트)에 달한다. 이번 위기가 시작된 이후 총 지출액은 6조 달러(6788조 원)다. 현재의 계획에 의하면 연방준비제도(연준, Fed)와 재무부 역시 올해 은행권에 약 2조 5000억 달러(2829조 원)를 투입할 것이다. 금리는 0퍼센트 수준을 유지할 것이다. 2007~2009년의 글로벌 금융 위기 이후 10년 동안, 미국의 경제 정책 입안자들은 지나치게 소심했다. 지금의 그들은 거침이 없다.
2020년 봄에는 상상할 수도 없었던 경기 반등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대부분의 미국인들이 지난 경기 부양책 보조금으로 정부로부터 600달러(68만 원)의 수표를 받았다. 1월 미국의 소매 매출은 이미 1년 전보다 7.4퍼센트 늘었다. 소비자들이 평상시처럼 식당이나 술집, 영화관 등에서 돈을 쓰지 못하고 집에만 틀어박혀 있는 상황에서 지난해 모두 1조 6000억 달러(1810조 원)가 저축됐다.
바이든 대통령의 경기 부양책은 대부분의 미국인들에게 1인당 1400달러(158만 원)를 지원한다. 현금의 상당 부분은 저소득층에 지급되는데, 이들은 경제 활동이 완전히 재개되면 이 돈을 쓸 가능성이 크다. 부유한 국가로서는 이례적인 상황이다.
심각한 변종 코로나로 고생하지 않는다는 전제하에 백신의 접종 범위를 계속해서 확대하면, 실업률은 올해 말까지 5퍼센트 이하로 수월하게 내려갈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