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5월 한미 정상 회담의 하이라이트는 정상 회담과 이어진 공동 기자 회견만이 아니었다. 정상 회담 직전에 치러진 한국전 참전용사 명예훈장 수여식이야말로 문재인-바이던 정상 회담이 얼마나 잘 짜여진 각본 있는 드라마인지를 보여 주는
이벤트였다. 지난 5월 21일 오후에 열린 한미 정상 회담 직전에 바이든 대통령은 명예훈장 수여식을 열었다. 심지어 수여식 장소도 한미 정상의 공동 기자 회견이 예정된 백악관 이스트룸이었다.
수상자는 올해 94세인 랠프 퍼켓 주니어 예비역 대령이었다. 캡틴 퍼켓은 1950년 11월
청천강 북쪽 205 고지 점령 작전을 이끌었다. 퍼켓 대령이야말로 살아 있는 캡틴 아메리카였다. 그런데 당시 퍼켓 대령과 한미 연합군이 맞서 싸운 상대는 독일군도 북한군도 아니었다. 중공군이었다. 바이든이 반드시 봉쇄해야만 하는 미국의 라이벌 중국 말이다. 바이든 대통령은 퍼켓 예비역 대령에게 훈장을 수여하면서 이렇게 말했다. “한미 양국 군은 3배나 많은 중공군에 맞섰습니다.”
당시 베이징은 한미 정상 회담을 예의주시하고 있었다. 미중 갈등은 앞으로 상당 기간 지속될 국제 외교의 상수다. 트럼프 정권에서 시작된 미중 무역 갈등은 단지 시작일 뿐이다. 집권 초기부터 바이든 대통령은 제로섬 게임인 무역 전쟁을 포지티브섬 게임인 외교 전쟁으로 전환시키는 걸 목표로 삼았다. 민주주의와 자유주의로 동맹을 하나로 묶는 것이 바이든 독트린이다. 한미 정상 회담과 G7으로 이어지는 외교 일정 그리고 하반기에 염두로 두고 있는 미중 정상 회담이 바이든 독트린의 시간표다. 1990년대부터 30년 동안 지속된 G1의 시대는 끝났다. 바이든 대통령도 누구보다 그 사실을 잘 알고 있다. 한미 정상 회담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큰 성과를 거둘 수 있었던 건 미국의 이런 세계사적 인식 때문이다. 중국의 부상을 견제하려면 한국의 협력이 절실하다는 걸 알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도 미국이 필요하지만 지금은 미국이 한국을 좀 더 절실하게 필요로 한다.
그런데 퍼켓 예비역 대령에 대한 미군 최고 훈장 수여식에는 문재인 대통령도 참석했다. 미군 최고 훈장 수여식에 다른 나라 정상이 동참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심지어 바이든 대통령은 문재인 대통령을 무대 단상으로까지 불러올렸다. 언뜻 애드립 같아 보이지만 아니었다. 바이든 대통령이 외교적 이벤트를 연출해낸 것이다. 바이든 대통령은 퍼켓 대령 앞에서 무릎을 꿇고 사진 촬영을 했다. 문재인 대통령도 마찬가지로 무릎을 꿇었다.
정상 외교는 사진의 예술이다. 정상들이 어떤 사진 장면을 연출하느냐가 역사의 흐름을 바꾼다. 바이든 대통령은 한국 대통령을 자국 군인 앞에 무릎을 꿇렸다. 그런데 문재인 대통령은 약간 엉거주춤한 자세로 앉아 있다. 퍼킷 대령의 무릎 위에 손을 얹고 있다. 무릎을 꿇었다고도 아니라고도 할 수 있는 자세다. 대신 고령의 예비역 대령에겐 충분한 예우를 갖추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은 두 명의 캡틴 아메리카 사이에 앉아 있었다. 한 사람은 과거에 중국과의 전쟁에서 한국에게 도움을 줬던 캡틴이었다. 다른 한 사람은 지금 중국과의 전쟁에서 한국이 도움이 돼주기를 바라는 캡틴이었다. 어쩌면 이 사진 한장이 지난 한미 정상 회담의 전부였다.
문재인, 한반도의 운전대를 다시 잡다
백악관 웨스트윙 오벌오피스에서 이뤄진 한미 정상 간 단독 회담 시간은 37분 남짓이었다. 중간에 점심 식사도 함께했다. 사실상 런치 미팅이었던 셈이다. 바꿔 말하면 오후 이스트룸에서 있을 한미 공동 기자 회견의 내용은 이미 정리가 끝난 상태였단 뜻이다. 밥알 튀기면서 토론할 만큼 첨여한 이견도 없었단 말이다. 당시 청와대가 한미 정상 단독 회담에 관해 배포한 보도자료의 주요 내용은 점심 메뉴에 관한 것이었다. 양 정상이 메릴랜드 크랩 케이트를 함께 먹었다는 내용이었다. 메릴랜드 크랩 케이크는 꽃게살을 이용한 일종의 어묵이다.
양 정상이 함께 마스크를 벗은 채 가까이 앉아서 점심을 먹는 장면은 일본 스가 요시히데 총리와의 오찬 장면과 대비될 수밖에 없었다. 바이든 대통령과 스가 총리는 멀찍이 떨어져 앉아서 20분 동안 햄버거를 함께 먹었다. 사실 미국측은 코로나를 우려해서 스가 총리와의 오찬을 취소하려고 했었다. 일본측의 고집으로 오찬 자리가 만들어졌다. 스가 총리로선 햄버거 대접을 받아도 감수할 수밖에 없었다. 실제로 스가 총리는 햄버거에 손도 대지 않았다.
이어진 한미 정상 공동 기자 회견에선 외교의 달인들인 두 정상의 화려한 플레이가 돋보였다. 한마디로 줄 건 주고 받을 건 받았다. 일단 문재인 대통령은 바이든 대통령으로부터 “2018년 판문점 선언과 싱가포르 공동 성명 등 기존의 남북 간, 북미 간 약속에 기초한 외교와 대화가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 정착을 이루는 데 필수적이라는 공동의 믿음을 재확인했다”는 발언을 얻어냈다. 판문점 선언과 싱가포르 공동 성명은 모두 트럼프 대통령의 업적이다. 바이든 역시 ‘Anything but Trump’일 수도 있었다. 바이든은 부시와 같은 실수를 하지 않았다. 클린턴과 김대중 그리고 부시의 실패에서 배웠다. 판문점 선언엔 남북한 철도 연결이나 DMZ 평화지대 전환 같은 실질적인 남북한 협력 방안이 담겨 있다. 싱가포르 공동 성명은 장차 북미 수교의 교두보가 될 수 있다. 모두 문재인 정부 대북 외교의 성과다. 문재인 대통령은 문재인 독트린을 지켜내는 데 성공했다.
물론 G7 코뮤니케엔 북한의 완전한 핵 포기라는 표현이 등장했다. 나토 공동 성명에선 북한의 완전한 핵 해체라는 표현이 재등장했다. 둘 다 자칫 문재인 독트린을 헝클어뜨릴 수도 있는 문구들이다. 두 개의 한국이 있듯이 두 개의 미국도 있다. 미국은 이란과의 핵 재협상을 추진하고 있다. 게다가 이란 대선에선 초강경파인 에브라힘 라이시가 대통령으로 당선됐다. 성직자인 라이시는 전임자는 로하니 대통령에 비하면 압도적인 강경파다. 라이시는 검사 출신이다. 검사 시절 반체제 인사 검거에 앞장섰던 이른바 공안통이다. 별명이 테헤란의 도살자였다. 미국 입장에선 북핵과 이란 핵을 적어도 겉으로는 동일하게 다룰 수밖에 없다. 두 개의 미국이다. 속내는 좀 다르다. 라이시의 임기가 시작되는 8월까진 사실상 이란 핵 재협상은 잠시 멈춤 상태일 수밖에 없다. 그렇다면 7월과 8월은 북핵 문제에 집중할 수 있는 최적의 시기다. 오바마 시절엔 이란 핵 합의가 북한 핵 협상의 벤치마크였다. 바이든 시대엔 북한 핵 협상이 이란 핵 재협상의 벤치마크가 될 수 있다. 이건 문재인 데탕트한텐 행운이다.
문재인 대통령을 김대중 대통령 이후로는 처음으로 한반도의 운전대를 잡은 지도자다. 김대중 대통령은 미국 국내 정치의 변화 탓에 운전대를 놓치고 말았다. 노무현 대통령은 임기 내내 운전대를 다시 잡아 보려고 사력을 다했지만 실패했다. 부시 대통령과의 관계만 악화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문재인 대통령한테 운전대를 내줄 생각이 없었다. 단지 오바마가 못한 걸 자신은 해냈다는 걸 과시할 수 있는 화려한 외교 쇼를 원했다. 그런데도 문재인 대통령은 그런 트럼프의 야망을 지렛대 삼아서 평양 정상 회담과 싱가포르 정상 회담을 성사시키는 수완을 발휘했다. 정작 한반도의 운전석에 제대로 앉았다고 볼 수는 없었다. 운전대는 여전히 트럼프가 잡고 있었고 조수석에서 길잡이 역할만 해달라는 셈이었다.
이번엔 다르다. 바이든 대통령은 한반도의 운전대를 문재인 대통령한테 맡겼다. G7 정상 회담 직후 성킴이 방한해서 대북 대화 메시지를 보낸 것만 봐도 알 수 있다. G7에선 문재인 대통령이 선물을 줬다. 이번엔 바이든 대통령이 답례를 할 차례다. 물론 조건은 있다. 비핵화에 관해 북한의 실질적인 양보를 이끌어 내는 것이다. 결국 앞으로 서울-평양간 대화 채널이 얼마나 제대로 가동되느냐가 관건이다.
물론 한미 정상 회담에서 우리 정부도 대신 내줄 건 내줬다. 한미 공동 성명에는 “한미는 쿼드 등 개방적이고, 투명하며, 포용적인 지역 다자주의의 중요성을 인식했다. 남중국해 등에서 평화와 안정, 합법적이고 방해받지 않는 상업, 항행, 상공 비행의 자유를 포함한 국제법 존중을 유지하기로 약속했다”는 내용이 담겼다. 쿼드, 남중국해, 대만는 모두가 미국측이 원하는 키워드들이다. 한미 미사일 지침 철회에서도 드러났지만 미국은 한국을 대중 전선의 최전선으로 본다. 1950년 1월 에치슨 라인의 실수에서 얻은 교훈이다. 바이든은 존 맥케인 사후 미국 조야에서 유일무이한 외교 전문가로 꼽힌다. 심지어 지금은 대통령이다. 한국을 포기하면 중국의 동진을 막을 수 없다는 걸 누구보다 잘 아는 인물이라는 말이다. 한국에 원하는 걸 다 들어주더라도 한국을 대중 전선쪽으로 한발자국 끌어들이는 게 이번 한미 정상 회담에서 미국의 최우선 목표일 수밖에 없었던 겁니다. 그리고 이젠 역으로 북한을 한국과 미국 쪽으로 끌어들이려고 시도하고 있다. 바이든의 역공이다.
“Good L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