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블록체인 스타트업 ‘유가랩스(Yuga Labs)’는 이제 막 설립 1년 차를 맞았다. 1년이라는 비교적 짧은 기간 동안 그들의 PFP(Profile Pictures・프로필 사진) NFT(Non-fungible Token・대체 불가능 토큰) 프로젝트인 ‘BAYC(Bored Ape Yacht Club・지루한 원숭이들의 요트 클럽)’을 세계에서 가장 가치 있는 PFP NFT로 만들어냈다. 유가랩스는 현재 BAYC를 넘어 차세대 메타버스(Metaverse) 플랫폼을 구현해 낼 수 있는 기업으로 각광받고 있다. 이 책은 유가랩스의 성장에서 결정적이었던 순간을 분석하고 그들의 미래 계획을 들여다본다.
BAYC는 2022년 초, 가장 값비싼 PFP NFT 컬렉션이 되었다. 세계 최대 NFT 거래소 ‘오픈씨(OpenSea)’에서 2022년 7월 3일 기준 BAYC 매물의 최저 가격은 90.5ETH(Ethereum Unit・이더리움 단위)이며, 이는 최근 암호 화폐 시장의 침체에도 불구하고 1억 3000만 원
[1]에 이른다. 야심차게 시작하는 대다수의 프로젝트들이 최저 가격으로 1ETH 조차 형성하지 못하고 잊힌다는 것을 감안하면 놀라운 성과다. 같은 날까지 BAYC의 누적 거래량은 62만 6989.57ETH였으며, 이는 8900억 원이다. 이 글을 쓰기 불과 몇 주 전 이더리움 가격이 더 높았을 때를 기준으로 추산한다면 1조 원은 가뿐히 넘길 것이다. 또한 유가랩스에 따르면, 2022년 2월 기준으로 BAYC의 누적 거래량은 오픈씨 전체 누적 거래량의 10퍼센트를 차지했다. 유가랩스는 어떻게 1년 만에 세계에서 가장 비싼 NFT를 만들 수 있었을까? BAYC는 다른 PFP NFT 프로젝트들과 무엇이 달랐을까?
이 같은 흐름은 비단 암호 화폐 시장에서만 일어나는 일이 아니다. 유서 깊은 예술품 경매 시장에서도 발견된다. 2021년 9월 9일에는 세계 양대 경매 회사 중 하나인 ‘소더비(Sotheby’s)’가 101개의 BAYC를 경매에 부쳤는데, 총 낙찰 금액은 310억 원이었다. 같은 달 17일에는 다른 하나의 경매 회사 ‘크리스티(Christie’s)’도 네 개의 BAYC를 경매에 부쳤으며, 총 낙찰 금액은 36억 원에 달했다. 고작 원숭이 캐릭터 이미지를 담은, 보다 정확히는 그 이미지 파일이 저장된 주소
[2]를 담은 이 NFT들이 개당 평균 낙찰 금액이 3억에서 9억 원에 이를 만큼의 가치를 지닌 예술품일까? 혹시 거품은 아닐까? 2022년 5월 21일 SBS의 탐사 보도 프로그램 ‘그것이 알고싶다’는 〈피카소와 NFT-신화인가 버블인가〉라는 제목으로 NFT 열풍과 그 이면의 문제점을 보도하기도 했다. 그렇다면 과연 BAYC는 신화인가 버블인가. 아직 이 원숭이 캐릭터 이미지를 본 적이 없다면 이쯤에서 어떤 그림인지 상당히 궁금할 것이다. 하지만 조금만 참아주길 바란다. 이 책을 읽는 동안 수많은 BAYC들을 만날 수 있을 테니.
유가랩스는 매년 세계 최대 NFT 컨퍼런스인 ‘NFT.NYC’ 기간에 맞추어 BAYC 커뮤니티를 위한 이벤트인 ‘APE FEST’를 개최하고 있다. 올해도 6월 20일부터 23일까지 나흘간 미국 뉴욕의 관광용 부두인 ‘피어 17(Pier 17)’에서 APE FEST 2022를 개최했다. 그곳은 한 마디로 성인용 테마파크 같았다. 유가랩스는 피어 17을 BAYC 월드로 만들었고, 전 세계에서 모여든 NFT 컬렉터(Collector・수집가)들은 디즈니월드에 방문한 아이들처럼 들떠 있었다. 어쩌면 PFP NFT 사업의 본질은 엔터테인먼트 사업이 아닐까? 왜 이들은 BAYC에 이렇게까지 열광하는 걸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