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테르담시 대부분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파괴됐고 그로 인해 많은 현대식 건축물이 건설됐다. 지붕이 평평하다는 것은 현대 건축의 한 가지 특징으로, 넓은 옥상 공간들이 상당수 생겨났으나 거의 활용되지 않은 채 빈 공간으로 방치됐다. 이에 로테르담시 당국은 2018년부터 지붕 및 옥상의 가치를 재발견하는 루프탑워크를 열었다. 루프탑워크는 로테르담 루프탑데이즈(Rotterdamse Dakendagen)라는 옥상 네트워크가 주최하는 ‘루프탑데이(Rooftop Days)’의 한 프로그램으로, 건물 사이에 29.5미터의 임시 인도교를 설치해 옥상들을 연결해 사람들이 유휴 공간을 오가며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이로써 18.5제곱킬로미터, 약 5600평에 이르는 옥상 공간들이 임시로나마 도심의 새로운 공공 공간으로 떠올랐다.
임시 인도교의 설계는 서울역 앞 ‘서울로7017’ 공중정원을 디자인한 네덜란드 건축소 MVRDV가 맡았다. 바닥은 네덜란드 상징인 오렌지색으로 덮였으며 전체 길이는 600미터에 이른다. 지상 30미터 높이의 옥상에서 대중들은 평상시 경험하기 어려운 환상적인 도시 전망을 즐길 수 있었다. 임시적이고 참여적인 공공디자인 프로젝트가 도시의 틈새 공간을 얼마나 건강하고 포용적인 공간으로 확장시킬 수 있는지를 보여 줬다. 뿐만 아니라 대외적으로도 로테르담은 창의적이고 매력적인 도시로서의 경쟁력을 전 세계에 각인했다. 이 루프탑워크는 지난 2022년 5월 26일부터 6월 26일까지 약 한 달간 진행됐는데, 무려 20만 명의 시민 및 방문객들이 티켓을 구매하고 공중 보행로를 경험했다.
루프탑 산책은 새로운 공간 경험을 선사한다는 점에서도 공공의 의미가 크다. 넷플릭스 다큐멘터리 〈익스플레인: 뇌를 해설하다(The Mind, Explained)〉에서 잘 설명되었듯, 뇌의 해마체는 다양한 공간적 경험을 통해 새로운 뇌세포를 생성한다. 일례로 영국 런던에서 택시 운전사가 되려면 도로 지명과 위치를 모두 외워야 하는데 미로처럼 복잡한 런던의 도로를 모두 꿰뚫고 있기란 쉽지 않다. 직접 그 장소에 한 번은 가 봐야 겨우 외울 수 있고, 따라서 기사가 면허 시험을 통과하는 데는 통상 2년 정도 걸린다. 여기서 〈익스플레인〉 제작팀은 택시 기사 지원자들의 해마체를 두고 시험 전 크기와 시험 후 크기를 비교했다. 놀랍게도 불합격자는 그 크기 변화가 없었던 반면, 합격자는 해마체 크기가 확연히 커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면허 시험을 준비하는 2년 동안 런던을 바쁘게 돌아다닌 결과 해마체가 커질 정도로 새로운 공간 경험을 통해 뇌세포들이 자연스럽게 많이 생성된 것이다. 루프탑워크 또한 차원이 다른 공간 경험을 선사함으로써 시민의 뇌를 활성화하고 건강에 기여할 수 있다.
또 루프탑워크는 지속 가능한 도시라는 의제에 세계적 관심을 불러 모으는 계기가 됐다. 디자이너와 건축가들이 옥상 전시에 참여해 지붕에 빗물 저장, 식량 및 에너지 생산의 기능을 도입한 것이다. 도시의 녹지율을 올리고 열섬 효과를 줄이는 옥상 공원, 꽃 모양의 풍력 발전기, 태양광 패널을 통한 친환경 에너지 허브, 도시 항공 교통 시대에 대비한 드론 착륙장 등 옥상의 다양한 활용도를 제시했다. 로테르담은 전 세계적으로 오직 2퍼센트만 활용되고 있다는 도심의 옥상이 환경, 에너지, 기후 문제와 공공 공간 부족에 대응할 잠재력이 있음을 보여 줬다.
유연한 제도, 유연한 실험
도시 발전을 위해 새로운 공간과 시설을 만들기도 하지만, 코로나19와 같이 사회적 환경이 급변하는 상황에서 새로운 공간을 마련하는 데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여기에, 로테르담 루프탑데이와 같이 기존 공간을 활용하는 실험을 통해 전체 도시를 활성화하는 대안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이때 필요한 것은 기(旣) 건설된 도시 공간의 여러 가능성과 수요를 살피는 동시에, 법적 규제를 유연하게 조정하는 행정적 의지와 조치다.
루프탑데이와 같은 임시적 공간 실험을 택티컬 어바니즘(Tactical Urbanism)이라 한다. 택티컬 어바니즘이란 간단하고 임시적인 방식으로 도시 실험을 해보고, 효과가 검증되면 관련 이해 당사자들과의 거버넌스를 통해 도시를 조금씩 바꾸어 나가는 실천적 도시 설계 이론이다. 게릴라 어바니즘(guerrilla urbanism), 팝업 어바니즘(pop-up urbanism), DIY 어바니즘(D.I.Y. urbanism), 또는 도시 수선(city repair)이라고도 불린다.
기존의 도시 계획이 탑다운(top-down) 방식의 대규모 예산을 투입한 대규모 하드웨어 구축이라면, 택티컬 어바니즘은 버텀업(bottom-up) 방식의 소프트한 부분적 개선이라고 할 수 있다. 이해 당사자들이 참여하는 일시적이고 규모가 작은 프로젝트들을 통해, 시민들이 원하는 게 무엇인지를 알아내고 솔루션을 디자인하고 그것이 좋은 솔루션인지 실험으로 확인해 보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도시를 중·장기적으로 업데이트할 방안도 모색할 수 있게 된다.
브라질 쿠리치바(Curitiba)
[3] 시장을 세 번, 파라나 주지사를 두 번이나 역임하면서 쿠리치바를 ‘꿈의 생태 도시’로 만든 자이메 레르네르(Jaime Lerner)는 택티컬 어바니즘을 쉽게 ‘도시 침술(Urban Acupuncture)’이라 표현한다. 도시 침술이란 용어는 본래 카탈루냐(Catalonia) 건축가 마누엘 데 솔라 모랄레스 이 루비오(Manuel de Solà-Morales i Rubió)가 만들었으나 레르네르가 2014년 출간한 《도시 침술(Urban Acupuncture)》이란 책을 통해 더 유명해졌다. 건축가 출신 레르네르 시장은 건축가 시절 엄청난 예산을 투입한 대규모 도시 계획이 아닌, 작은 변화로도 도시를 활기찬 공간으로 바꿀 수 있음을 경험했다. 그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도시 침술이란 어두운 골목을 밝히는 가로등, 특별한 기억을 담은 공원 벤치 같은 작은 요소를 통해 도시 생활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이끄는 ‘최소한의 개입’을 뜻한다. 나는 항상 도시의 아픈 부위에 침을 한 대 놓아 낫게 하겠다는 꿈과 희망을 키워 왔다.”
[4] 그는 정부와 지자체, 주민 간 갈등을 조율하고 정책 반대자들의 마음을 돌리며 도시 침술을 통해 ‘시민 모두가 한마음이 되는 활기찬 도시’라는 비전을 쿠리치바에 실현했다.
도시 침술의 장점은 더 가볍고, 더 빠르고, 더 저렴하다는 것이다. 쿠리치바에서 레르네르 시장은 문을 닫고 방치된 채석장에 오페라 데 아라메 극장(Ópera de Arame)을 단 두 달 만에 지어 시민들에게
개방했다. 오페라 하우스 같은 공공 건축은 부지 마련에서부터 설계 공모, 시공에 이르기까지 막대한 자금과 기간이 소요된다. 레르네르 시장은 공공 사업에 있어 속도가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속도는 시민들에게 신뢰감을 주기 때문이다. 그는 빠른 건축을 위해 한 가지 건축 재료만을 택했다. 공사 현장에서 일반적으로 가설재로 사용하는 지름 48.6밀리미터의 강관이다. 그는 이 강관을 다양한 방법으로 조합해 구조, 외피, 간판, 난간까지 만들어 새장 모양의 극장을 만들었다. 멀리서 보면 이 강관이 철사처럼 보여서 아라메(포르투갈어 ‘Arame’는 영어로 ‘wire’를 뜻한다)라는 이름을 붙였다. 파이프와 유리로 75일 만에 완성된 2400평 규모의 오페라 하우스는 공사 기간, 비용, 구조, 아름다움 모든 면에서 사람들의 경탄을 일으켰다.
또한 쿠리치바는 브라질에서 최초로 거리의 자동차 전용 도로를 보행자 전용 거리로 바꾼
도시다. ‘꽃의 거리’는 쿠리치바 도심의 보행자 전용 거리로, 친환경을 중시하는 레르네르 시장의 철학과 소신 속에서 탄생했다. 그는 시장 자리를 내놓을 각오로 주말을 기해 전격 도로 공사를 시행했다. 상점들과의 마찰을 피해 상점이 주말 문을 닫는 시간인 금요일 오후 6시에 포장을 걷어낸 뒤 가로수를 심고 화분을 배치해, 48시간 만에 보행자 거리를 조성했다. 시민들을 위한 열린 공간에서는 어린아이들의 그림 그리기 행사가 펼쳐졌고, 폐전차를 활용한 탁아소 운영 등으로 사람들의 사랑을 받게 됐다. 결국 보행자 공간에 대한 상점 주인들과 자동차 단체들의 반대는 수그러들었다. 현재 ‘꽃의 거리’는 ‘보행자를 위한 최우선 구역’으로 지정, 관리되고 있다.
[5]
레르네르 시장은 도시 침술을 통해 다음과 같은 목표를 추구해 왔다. “일이 복잡하다는 이유를 대며 온갖 이득을 보려 하는 관계자들, 나쁜 정책과 수많은 사소한 선택처럼 관성에 젖은 행동 때문에 결정적인 순간을 놓치거나 핵심 프로젝트가 방해받지 않도록 만드는 것.”
[6]
공공디자인은 도시 침술을 통해 빠르게 다양한 계획들을 실험해 볼 수 있으며, 대중의 만족이 검증되면 이는 영구적 시설 설치까지 이어진다. 국내에서도 이런 사례들을 찾아볼 수 있다. 서초구에서 시작한 횡단보도 사거리 그늘막이 대표적이다. 전국 어디서나 볼 수 있는 폭염 방지 그늘막은 처음에는 무단 시설로 여겨지기도 했으나, 이제는 횡단보도를 기다리며 한낮의 뜨거운 태양을 피하고 장마철 폭우를 피하는 시설이 되어 전 국민의 사랑을 받고 있다. 이는 대한민국 공공디자인대상은 물론 유럽 그린애플어워즈 등 국내외의 다양한 상을 수상했고, 2019년에는 행정안전부의 그늘막 설치·관리 지침 지정을 통해 공식 시설로 인정받았다. 횡단보도에서 뜨거운 태양에 손으로 얼굴을 가리고 그늘을 찾던 시민들을 관찰한 결과, 작은 비용으로 큰 효과를 내는 공공디자인 시설이 탄생한 것이다.
시민들을 위해 지향하거나 개선해야 할 공공의 가치들은 무수하다. 살펴보지 않으면 보이지 않지만, 공익의 관점으로 살필 때 개선할 대상들이 눈에 띈다. 변화는 법과 제도를 포함해 도시의 모든 현상 유지에 의문을 제기하는 것에서 시작한다. ‘제도’를 통한 규제가 아니라 ‘실험’을 통한 권고로 나아갈 때, ‘계획’을 통한 설치에서 ‘실행’을 통한 가치관의 변화로 나아갈 때 도시는 업데이트되고, 선진적인 공공 공간은 시민들의 자랑스러운 누림이 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