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스 현황/ 미국 민주당 대선 경선/ 선별된 후보에 대한 전국 여론 조사 평균, %/ 90% 신뢰 구간/ 조 바이든(주황색)/ 엘리자베스 워런(파란색)/ 버니 샌더스(하늘색)/ 카말라 해리스(빨간색)/ 피트 부티지지(청록색)/ 출처: 파이브서티에이트, 이코노미스트.
시장에 대한 그녀의 찬사에는 중요한 조건이 붙어 있다. “다만 오직 공정한 시장, 규칙이 존재하는 시장이어야 한다.” 워런은 현재 미국의 시장에서 작동되는 규칙들이 공정하지 않다고 생각한다. 그녀는 시장의 자금이 정치 자본으로 유입되면서 부패한 시스템이 만들어졌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대부분의 탄소 배출에 비용이 부과되지 않고, 거대 테크 기업들은 더욱 막강한 힘을 축적하고 있으며, 의료 서비스 분야는 독과점 기업의 지배를 받고 있다. 시장의 실패, 혹은 워런의 관점에서는 시장의 파괴 행위라고 할 만한 문제들이 경쟁을 저해하고, 소득 불평등을 확대하고, 수백만의 근로자 가정들을 “벼랑 끝으로 내몰고” 있다. 이런 문제들을 바로잡기 위해서는 광범위한 개혁이 필요하다.
이런 주장들이 민주당 경선 유권자들을 열광시키고 있다는 사실이 놀라운 것은 아니다. 건강한 자본주의는 건강한 경쟁을 근간으로 하고 있다. 하지만 지난 20년 동안 미국 산업의 3분의 2에서 시장 집중도가 상승했다. 경쟁은 고객을 두고 싸워야 하는 기업들의 이윤을 제한하는 기능을 해야 한다. 그러나 미국에서 기업의 이윤은 급증했다.
2016년 미국의 상위 1퍼센트 소득 계층의 실질 소득은 1979년에 비해 225퍼센트 상승했다.(표2 참조) 같은 기간, 중산층의 소득은 41퍼센트 증가했다. 최근 미국의 고용 시장이 활성화되면서 노동자들은 지난 몇 년간보다는 더 나은 협상력을 갖게 되었다. 하지만 증가한 협상력이 최상위 1퍼센트와 나머지, 대학 졸업자와 저숙련 노동자 사이의 장기적인 불평등을 상쇄하지는 못한다. 많은 사람들은 높은 교육 수준과 좋은 의료 서비스, 그리고 괜찮은 주거 환경을 감당할 수 없다. 미국은 그 어떤 부유한 나라들과 견주어도 불평등 수준이 높고, 기대 수명이 낮은 곳 중 하나다.
불평등에 제동을 걸기 위해서 워런은 협공 작전을 제안한다. 첫 번째 작전은 예일대학교 교수인 제이콥 해커(Jacob Hacker)가 창안한 개념인 “사전 분배(predistribution)”다. 근로자 가정의 세전 소득이 증가할 방법을 찾고, 불공정한 것으로 인식되는 경제적 수입을 제한함으로써 불평등의 원인을 완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거대 기업들을 분할하거나 규제하고, 노동자들에게는 힘을 실어 줄 수 있는 다양한 정책이 필요하다. 한쪽에서는 재분배(redistribution)라는 전통적 방식을 통해 세금과 지출로 인한 문제를 해소하고자 할 것이다. 워런은 단순히 트럼프 대통령의 세제 감면 정책을 뒤집는 일만 하지는 않을 것이다. 그녀는 대기업과 부자들에게 새로운 세금을 부과할 것이다. 수십 년간 지속적으로 하락해 온 이들의 세금은 지난 한 세기 동안의 인상률보다 더 급격한 추세로 오를 것이다.
기업들은 1억 달러(1170억 1000만 원)를 초과하는 모든 이윤에 대해서는 7퍼센트의 추가 세금을 내야 할 것이다. 현행법에 따른 과세 이익이 아니라 각 기업들의 회계 보고서에 명시된 이윤을 대상으로 과세가 이루어질 것이다. 두 수치는 종종 커다란 차이를 보이곤 한다. 의회에 로비를 해서 얻는 세금 면제 혜택은 수익성이 뛰어난 기업 다수가 적은 세금을 내는 이유다. 최상위 소득 계층도 더 무거워진 소득세 통지서를 받아들게 될 것이다. 워런은 사회 보장 제도(공적 연금)가 2035년경 적자 상태에 빠지게 되는 원인으로 “부자들의 불충분한 기여”를 지목하면서, 최상위 2퍼센트 가정에 거의 15퍼센트에 달하는 추가 부담금을 도입하겠다고 밝히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