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 두 달 만에 세계 경제가 뒤집혔다. 주식 시장은 3분의 1가량 폭락했고, 수많은 국가의 공장, 공항, 회사, 학교, 상점들은 바이러스 확산을 억제하기 위해 폐쇄됐다. 노동자들은 일자리를 걱정하고, 투자자는 기업이 채무 불이행을 선언하지 않을까 두려워한다. 이 모든 것이 현대에 들어선 이후 가장 급격한 경기 침체를 암시한다. 1월과 2월의 중국 국내 총생산(GDP)은 작년 같은 기간에 비해 10~20퍼센트 감소한 것으로 추정된다. 바이러스가 맹위를 떨치는 한 미국과 유럽에서도 비슷한 하락세가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 이는 아시아에서 추가적인 하락을 일으킬 수 있다. 이번 사태의 충격이 불황으로 치닫는 것을 막으려면 정부가 대대적으로 개입해야 한다. 규모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새로운 금융 정책을 개발해 신속히 시행해야 한다.
서구의 정부와 관계 당국은 이미 대규모 재정 지원을 약속했다. 예산 지출, 세금 감면, 중앙은행의 현금 공급, 대출 보증 등을 포함한 미국, 독일,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의 전체 재정 지원액은 7조 4000억 달러(9315조 4900억 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된다. 이들 국가 GDP의 23퍼센트에 해당하는 금액이다(
2화 참조). 하지만 이런 지원액의 5분의 4를 책임지는 것은 각국 중앙은행이다. 대부분의 정부는 너무 작은 역할을 하고 있다. 주택 대출금 상환 연기에서 파리의 카페에 대한 구제 금융에 이르기까지 여러 정책들이 제시되고 있다. 한편 정통적인 자극책은 효과를 거두기 어려울 수 있다. 대부분 선진국의 금리는 이미 0에 가깝기 때문에 중앙은행의 핵심 수단은 사실상 무력화된 상태다. 각국 정부는 경기 침체기에 보통 수요를 촉진하려 하지만, 집안에 갇혀 있는 사람들은 자유롭게 소비할 수 없다. 역사에서 얻을 수 있는 교훈도 많지 않다. 1918년의 세계적인 독감 대유행은 제1차 세계대전으로 인해 이미 경제가 파괴되었을 때 발생했다. 중국은 폐쇄 상태를 어느 정도 견뎌 왔지만, 이들의 사회 체제는 서구와 다르다.
무엇을 해야 할까? 경제 대책은 가계와 기업 두 집단을 지원해야 한다. 집행은 빠르고, 효율적이고, 유연해야 한다. 그래야 바이러스의 확산세에 따른 필요를 기준으로 정부가 지원을 줄이거나 늘릴 수 있다는 것을 노동자와 기업이 확신할 수 있다. 대규모 정부 지출이 필요한 가계 단위부터 살펴보자. 우선 유급 병가 보조금을 지급하고 건강 보험에 가입하지 않았더라도 치료를 받을 수 있게 해서 취약 계층을 보호해야 한다. 생산 활동이 중단되어 저조한 실적을 올리고 있는 기업들에게도 노동자의 임금에 대한 보조금을 지급해 정리 해고를 막아야 한다. 독일은 이미 선제적으로 이런 정책을 취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