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books
series
review
longread
talks
bbr
podcast
series archive
live
more
브랜드 소개
블로그
문의
멤버십 가입
멤버십 가입
검색
사용자
0
로그인
회원 가입
멤버십 가입
검색
사용자
0
로그인
회원 가입
0
로그인
회원 가입
#프라임Lite
키워드로 원하는 주제를 찾아보세요.
필요한 키워드가 있으시면 문의 페이지로 알려 주세요.
최신순
인기순
초연결 사회의 에이블테크
3년 전
김포국제공항에 시각 장애인용 무인 항공권 발급기가 도입됐다. 편의를 증진하는 에이블테크에선 어떤 미래를 엿볼 수 있을까.
도축 없는 미래
3년 전
전 세계가 배양육 시장을 주목한다. 대체 단백질은 어떤 미래를 그리려 하나?
사교육 아닌 사교육
3년 전
에듀테크 앱 ‘콴다’의 글로벌 가입자 수가 6000만 명을 돌파했다. 인공지능은 교육 격차를 해결할 수 있을까?
밥값이 치솟는 가운데 유럽은 우회전
3년 전
북저널리즘 라디오 에피소드 #34에선, 프랑스 대선 결과와 유럽의 우경화 상황, 11년이 지나도록 해결되지 못한 가습기 살균제 참사, 약한 고리부터 끊어내고 있는 고물가, 그리고 토종 OTT의 미래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잔인한 S의 계절
3년 전
S의 공포가 현실이 되고 있다. 물가는 치솟는데 월급은 그대로인 시대다. 고통의 크기는 공정하지 않다.
토종 OTT 살리기 프로젝트
3년 전
윤석열 정부가 토종 OTT를 키우기 위해 시동을 건다. 글로벌 시장에 막 발을 들인 토종 OTT의 미래는 밝을까?
해결된 적 없는 미래
3년 전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 단체가 시위에 돌입했다. 피해자가 속출했던 사건은 왜 11년째 해결되지 않았나.
톨레랑스는 죽었다
3년 전
프랑스 국민은 다시 한 번 마크롱을 지지했다. 그러나 싸움은 지금부터 시작이다.
다시 일상이다. 전혀 다른 일상이다.
3년 전
북저널리즘 라디오 에피소드 #33에선, 팬데믹이 남긴 새로운 진료 경험 비대면 진료, 주류 소비 트렌드를 통해 살펴 본 리오프닝의 키워드, SNS를 부정하는 SNS BeReal의 심상치 않은 인기와 그 함의, 코로나로 인해 자취를 감춘 학생 자치 문화의 미래를 짚어봅니다.
소멸된 학생 자치에도 꽃이 필까요?
3년 전
교육계에도 리오프닝이 찾아왔다. 코로나로 인해 자취를 감춘 학생 자치 문화는 부활할 수 있을까?
소셜 미디어의 조건
3년 전
안티 소셜 미디어를 표방하는 비리얼의 인기가 심상치 않다. 우리가 알던 소셜 미디어의 판도가 바뀔지도 모른다.
소맥의 시대는 끝났다
3년 전
일상이다. 주류업계는 리오프닝을 꿈꾸고 전국의 부장님들은 회식을 꿈꾸지만, 지난 2년 동안 주류 소비의 트렌드는 급격히 변화했다.
1
...
12
13
14
15
16
17
...
43
Close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