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뿌리 민주주의의 승리: 2004년부터 이어진 소비자들의 파맛 첵스 출시 요구에 농심 켈로그가 16년 만에 응답하면서 소비자들의 호응을 얻고 있다.
- 첵스나라 부정 선거: 농심 켈로그는 2004년 시리얼 브랜드 첵스의 마케팅 이벤트로 ‘첵스나라 대통령 선거’를 진행해 밀크초코당의 체키와 파맛당 차카 후보를 출마시켰다. 그러나 체키가 당선될 것이라고 예상한 애초의 시나리오와는 달리 파맛 차카가 초코맛 체키를 압도하기 시작했다. 파맛 첵스의 출시는 준비조차 되지 않았던 상황에서 당황한 켈로그는 무효표를 걸러 낸다며 ARS 전화와 롯데월드 현장 투표 등을 추가해 결국 체키가 당선됐다. 소비자들은 ‘역대 최악의 부정 선거’라며 차카를 피해자로 지목했다. ‘부정 선거 사건’은 만우절과 선거철마다 인터넷에서 숱한 패러디를 낳았다.
- 농심 켈로그는 이번 출시와 관련해 “16년 동안 매년 신제품 회의에서 파맛 첵스 안건이 올라왔으나, 개발 과정과 소비자 선호도 등을 고려해 시간이 걸렸다”고 설명했다. 파맛 첵스는 오곡으로 만든 기존 첵스 제품에 혼합 야채를 첨가해 ‘단짠맛’을 연출했다. 야채 과자와 비슷하다는 호평과 ‘민주주의의 맛은 쓰다’, ‘이럴 거면 체키의 독재가 낫다’라는 혹평이 엇갈리고 있지만 제품이 화제의 반열에 오르면서 이미 충분한 마케팅 효과를 거두고 있다는 게 업계의 분석이다.
밀레니얼을 위한 새로운 레시피: 밈과 인증의 형태로 새롭게 식품을 소비하는 밀레니얼 세대를 겨냥해 기업들은 연구실이 아닌 인터넷에서, 맛을 넘어 재미를 만드는 레시피를 발견하고 있다.
- 과거 파맛 첵스는 기업의 의도대로 고객을 움직이려다 실패한 ‘고객 참여형 마케팅’의 위험성을 설명하는 대표 사례로 언급됐다. 그러나 16년이 지난 지금 맛을 넘어 추구하는 가치와 재미를 위해 식품을 소비하는 소비자들을 겨냥하는 ‘펀슈머(funsumer) 마케팅’의 대표 사례로 재정의되기 시작했다.
- 펀슈머의 등장에 대응해 재미있는 제품을 만들기 위한 식품 업계의 아이디어 각축전도 뜨겁다. 특이한 제품명으로 밈을 유도하거나 미래 먹거리를 재료로 한 이색 제품을 출시하는 기업이 늘고 있다. 제품과 제품 간의 이색 콜라보도 활발하다. 또한 과거의 맛을 즐기는 ‘할매니얼’ 소비자를 겨냥해 흑임자, 쑥 등이 재료인 레트로 콘셉트의 상품도 등장하고 있다.
결론: 파맛 첵스가 출시될 수 있었던 배경엔 16년간 파맛 첵스에 꾸준한 관심을 보인 소수의 열성팬들이 있다. 소비에 대한 가치 기준은 점점 다양해지고 있다. 업계도 사소한 것이 위대한 것이 될 수 있다는 가능성에 주목하기 시작하면서 점점 더 다양한 제품이 등장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