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결하게, 스마트하게
폴리티코를 공동 창업한 짐 반더하이(Jim VandeHei)의 퇴사 계획이 알려진 2016년 1월
[1], 수많은 매체가 그의 차후 행보에 주목했다. 폴리티코가 어떤 매체인가. 2007년 출범한 이 정치 전문 매체는 여러 특종과 선거, 입법 관련 분석, 깊이 있는 뉴스레터를 앞세워 불과 몇 년 만에 정상급 미디어로 성장했다. 이제 갓 10년이 넘은 폴리티코의 백악관 브리핑룸 지정석은 USA 투데이, ABC 라디오 등 유력 매체와 열을 나란히 한다.
반더하이는 2017년 1월 인터넷 매체 악시오스(Axios)를 창간했다. 폴리티코의 창간 멤버인 백악관 전문 기자 출신 마이크 앨런(Mike Allen), 로이 슈워츠(Roy Schwartz) 전 CRO(Chief Revenue Officer, 최고수익책임자)도 창업자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미디어는 고장 났다. 기사는 너무 길고 지루하고, 웹사이트는 혼란스럽다”는 반더하이의 주장을 고스란히 반영하듯 악시오스는 특유의 간결함으로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악시오스의 슬로건은 똑똑함(smart)과 간결함(brevity)이다. 우선, 분량이 간결하다. 악시오스 웹페이지를 스크롤하면, 단어 100개 내외의 콤팩트한 본문 일부가 보인다. 모바일에서 보면 한 스크린이 조금 넘는 분량이다. 기사 대부분은 리드와 에디터의 해설인 ‘왜 중요한가(Why it matters)’로 시작하는데, 본문 전체를 보려면 ‘자세히 읽기(Go deeper)’ 버튼을 누르면 된다. 친절하게 남은 분량까지 알려 준다. 악시오스는 아이폰 화면에 최적화되어 있다.
악시오스가 내세우는 스마트함은 ‘최소의 분량과 최대의 정보’를 지향하는 데서 온다. 악시오스의 기사는 전형적인 스트레이트 기사와는 구성이 조금 다르다. 오히려 보고서에 가깝다. 리드의 요약에 이어 기사의 성격에 따라, 상세 내용(The details), 배경(Background), 행간(Between the lines), 전체 상황(The big picture), 수치(By the numbers), 결론(The bottom line)으로 시작하는 단락이 착착 전개된다. 가령 기사 〈Tim Cook: iPhone X is no dud〉의 분량은 단어 236개에 불과하지만, 사안의 핵심을 명확하게 짚는다. 자세히 읽기 버튼을 눌러 전문을 보면 애플의 웨어러블 기기 매출과 중국 시장에 관한 팀 쿡의 낙관적인 전망이 등장한다.
해당 분야의 기사를 더 읽고 싶다면 기사 아래의 태그를 누르면 된다. 이전 페이지로 되돌리거나 홈 버튼을 누를 필요가 없다. 악시오스 콘텐츠는 정치, 테크, 비즈니스, 헬스케어, 과학, 일의 미래, 에너지, 세계 등의 분야로 나뉜다.
뉴스레터는 악시오스가 주력하는 채널 중 하나다. 제작은 폴리티코 시절 뉴스레터 ‘플레이북’으로 큰 성과를 낸 마이크 앨런이 총괄한다. 악시오스는 14종의 뉴스레터를 제공하고 있는데, 2018년 6월 기준 구독자 수는 30만 명이다. 워싱턴 정가가 악시오스의 아침 뉴스레터 ‘Axios Am’과 함께 아침을 시작한다는 말도 나온다. Axios Am에는 앨런이 직접 고른 톱뉴스 10꼭지가 담겨 있다.
악시오스는 론칭 1년 만에 월간 순방문자 수 860만 명, 페이지뷰 8000만 회를 기록했다.
[2] 트래픽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페이스북 직접 유입은 20퍼센트다.
창간 전 이미 투자금 1000만 달러를 끌어모은 악시오스는 론칭 10개월 만에 2000만 달러를 추가 유치했다. 투자단에는 뉴미디어 전문 투자사 레러 히포 벤처스(Lerer Hippeau Ventures)를 비롯해, NBC 뉴스, 데이비드 브래들리 애틀랜틱미디어 회장 , 스티브 잡스의 부인인 로렌 파월 잡스가 운영하는 자선 단체 에머슨 콜렉티브, 벤처캐피털 그레이크로프트 파트너스(Greycroft Partners) 등이 이름을 올렸다.
악시오스의 주요 수익원은 네이티브 광고다. 론칭 7개월 만에 매출액이 1000만 달러를 넘었다. 창간 1주년이 갓 지난 2018년 2월, 니콜라스 존스턴(Nicholas Johnston) 편집장에게 악시오스의 주목할 만한 성과를 묻자 그는 “예상을 뛰어넘는 광고 매출”이라고 답했다. 론칭 당시부터 JP모건, 보잉, 펩시, BP 등 쟁쟁한 광고주 열 곳을 거느렸던 악시오스의 안착은 충분히 예상된 결과였다.
axios.com 론칭 전부터 언론은 악시오스의 새로운 광고 방식에 주목했다. 반더하이 CEO가 배너와 팝업 광고, 긴 분량의 네이티브 광고가 더 이상 소비자에게 먹히지 않는다고 여러 차례 공언했기 때문이다. 악시오스가 지난 1년간 선보인 네이티브 광고는 그들의 기사처럼 ‘똑똑하고 간결’하다.
14개 분야의 뉴스레터 대부분에는 그 분야의 네이티브 광고가 포함된다. 가령 비즈니스 에디터 댄 프리맥(Dan Primack)이 작성하는 뉴스레터에는 JP모건과 만든 ‘중소 사업자가 세제 개혁에 관해 알아야 할 다섯 가지’라는 네이티브 광고가, IT 분야 뉴스레터에는 다임러 그룹과 합작한 전기 자동차 관련 콘텐츠가 제공된다. 뉴스레터의 오픈율은 52퍼센트에 달한다.
악시오스가 내세우는 간결하고 똑똑한 기사의 콘셉트는 사실 새로운 게 아니다. 다만 이 매체는 고유의 문법으로 미디어 시장에서 두터운 팬층을 만들고 있다. 악시오스 관계자에게 차별화되는 간결한 뉴스의 특징을 묻자, 몇 가지 수치를 제시했다. 타 매체의 기사를 읽는 데 걸리는 시간이 평균 3.1분인 것에 비해 악시오스 기사 한 꼭지를 읽을 때 걸리는 시간은 27초라는 것. 비슷한 내용의 뉴스를 소비하는 데 2.7분을 아낄 수 있다는 게 악시오스 측의 주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