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의회 안의 장애인
나는 요즘도 이런 이야기를 듣는다. “아, 당신은 오늘 상태가 별로 안 좋군요.” 그들은 내가 지금 당장이라도 죽을 것 같다는 식으로 말한다. 하지만 국회 의사록에 기록된 나의 발언들을 보면 그렇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나는 현재 영국 국회의 여러 굵직한 위원회에 초대를 받아서 발언을 하고 있다.
나는 영국 상원 의원실 근처에 있는 어느 회의실에서 ‘낫 데드 옛 UK(NDY UK)’의 설립자인 제인 캠벨(Jane Campbell) 여남작(Baroness)과 이야기를 나누었다. 그녀는 상원에 소속된 일대귀족(life peer) 신분
[1]이다. 영국 국회의사당인 웨스트민스터 궁전의 한 방에는 휠체어를 탄 두 사람이 함께 있었다. 하원보다 평균 연령이 더 높은 상원에서조차도 이는 보기 힘든 광경이었다.
이 권력의 회랑 안에서 장애인들은 제대로 대변되지 못하고 있다. 그나마 제인 캠벨 여남작 덕분에 장애인들도 발언권을 가질 수 있게 되었다. 그녀는 비록 인공호흡기에 의지하여 발언하지만, 그 호소력은 헤비급 선수만큼이나 강력하다.
그녀는 역경을 이겨내며 경력을 쌓아왔다. 그녀는 런던 남서부에서 자랐다. 그녀의 어머니 제시(Jesse)는 드레스 가게의 쇼윈도 관리자였고, 그녀의 아버지 론(Ron)은 난방 기술자였다. 그녀는 생후 9개월에 스스로 고개를 들 수 없었고, 한 살이 되었을 때는 신체를 거의 움직일 수 없게 되었다. 그레이트오먼드스트리트병원(GOSH)으로 후송된 그녀는 척수근위축증(SMA) 진단을 받았고, 두 번째 생일을 맞이하지 못할 것이라는 말을 들었다. 그러나 의사들은 틀렸다. 그것도 아주 단단히 틀렸다.
당시 장애 아동들에게는 거의 기대를 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그녀는 그러한 편견을 극복하고 O레벨(중등 교육)과 A레벨(대입 자격)을 취득하여 해트필드공과대학(Hatfield Polytechnic)에 진학했다. 이후에는 서식스대학교(Sussex University)에서 실비아 팽크허스트(Sylvia Pankhurst)에 대한 논문으로 석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지방 정부에서 성공적으로 경력을 쌓은 그녀는 장애인들에게 무자비하고 미끄러지기 십상이던 사다리를 올라갔다. 그녀의 경력에는 평등 및 인권 위원회(EHRC)와 국립 사회복지연구소(NISW)의 활동이 기재되어 있다.
2007년에 제인 캠벨은 서비튼의 캠벨 여남작(Baroness Campbell of Surbition)이라는 작위를 받으며 상원에 입성했다. 그리고 현재 63세가 될 때까지 지난 15년 동안 상원 본회의장의 붉은 벤치에서 활동을 이어오고 있다.
[2] 그녀의 인생은 누구에게라도 인상적인 이력이 될 것이다. 그녀가 올라 있는 곳은 대단한 에너지를 발휘하지 않고서야 감히 쉽게 오를 수 없는 위치이다. 그리고 그녀의 열정은 여전히 그대로이다.
“저는 6년 전에 인공호흡기를 착용한 모습이었는데, 의원들은 제가 곧 숨이라도 멎을 것처럼 봤을 겁니다. 그들 생각에 저는 중환자실에 있어야 했습니다. 그들이 이제껏 봐 왔던 나 같은 사람들은 모두 중환자실에 있었기 때문이죠. 그렇지 않다면 그들은 아주 많이 아프거나 삶의 끝자락에 있었을 겁니다. 그들이 저를 걱정하지 않게 되기까지는 몇 년이 걸렸습니다.”
“그렇게 되기까지의 과정에서 저는 수많은 싸움을 벌였습니다. 가장 격렬했던 싸움은 그들이 저의 간병인
[3]을 본회의장에 데려오는 걸 허락하지 않았을 때 벌어졌습니다. 1725년 이후로 어떠한 평민도 상원 본회의장의 문턱을 넘어온 적이 없다는 것이 이유였습니다. 이는 하나의 관행이었고, 만약 그들이 제 간병인의 출입을 허용한다면 다른 사람들도 수행원을 요구할 수 있어야 했습니다. 그것은 과잉 혜택(disproportionate benefit)으로 간주되었죠.”
“저는 그들에게 합리적인 중재안을 설명하느라 많은 시간을 들였습니다. 그러다 결국엔 이렇게 말했습니다. 이봐요, 영국에는 평등법(Equality Act)이 있습니다. 이 법률에는 (장애가 없는) 다른 사람들은 (장애인에게 제공되는 것과) 동일한 혜택을 받지 않는다고 설명하는 부분이 있습니다. 철 좀 드세요!”
정말 철 좀 들어야 한다. 그녀가 여전히 당하고 있는 일들, 그래서 강제로 들어야 하는 논쟁을 들어보면 아직 철 들어야 할 부분이 아주 많다는 게 분명해진다.
2. 조력 자살에 반대하는 상원의원
NDY UK는 조력 자살(assisted suicide)에 반대하는 캠페인을 벌이고 있다. 캠벨 의원은 ‘조력 죽음(assisted dying)’이라는 용어에 반대한다. 그녀는 그런 표현이 의사 또는 다른 누군가가 다른 사람의 삶을 끝내는 행위를 부드럽게 표현하려는 것이라고 말한다.
이 사안은 최근 뉴스에서 많이 다루어졌다. 영국 하원의 건강 및 사회복지 특별위원회(HSCC)도 최근 들어 조사에 착수했다. 영국의 인기 제빵 경연 프로그램 〈베이크 오프(Bake Off)〉의 진행자인 프루 리스(Prue Leith)는 이 사안을 두고 자신의 아들이자 보수당 하원의원인 대니 크루거(Danny Kruger)와 토론을 했는데, 이는 지난 2월에 채널4(Channel 4)에서 〈프루와 대니의 죽음의 여정(Prue and Danny’s Death Road Trip)〉이라는 제목으로 방영되었다.
가장 최근에는 2015년에 조력 자살을 합법화하기 위해 관련 법률을 개정하려 표결에 부쳤지만, 상원은 그 시도를 기각했다. 이 캠페인은 든든한 자금과 든든한 인력들이 지원하고 있다. 이 운동을 전면에서 이끄는 곳은 ‘죽음의 존엄(Dignity in Dying)’이라는 단체이다.
반면 조력 자살에 반대하는 NDY UK에는 캠벨 의원실의 비정규 연구원인 제이납 알-케로(Zeynab Al-Khero)가 일주일에 며칠씩 근무하고 있을 뿐이다. 현재 남아 있는 예산은 올여름까지 그녀에게 일주일에 이틀 치의 급료만을 지원할 수 있는 정도이다.
“그들은 그런 걸 좋아합니다.” 여남작은 못마땅함을 표출했다. 그 단체에는 장애인들이 이끄는 전담 위원회가 있다. 그들은 “우리 없이 우리에 관해 아무것도 논의하지 말라(nothing about us without us)”는 장애인 당사자주의 구호를 내걸고 있는 단체이다. 그런데 캠벨은 “돈이라면 우리도 좀 더 쓸 수는 있다”고 털어놓았다.
당연하게도 NDK UK가 가진 최대의 강점 가운데 하나는 바로 캠벨 자신이다. 그녀는 조력 자살만이 아니라 장애인들의 더욱 일반적인 권리를 옹호하는 강력한 대변인이다.
그런데 조력 자살에 대한 옹호는 커다란 문제점을 갖고 있다. 그것이 장애인들의 일반적인 권리를 위태롭게 만드는 수단으로 바뀔 수도 있기 때문이다. “조력 자살은 이 나라의 장애인들에게 매우 무서운 일입니다. 우리는 의사들과 간병인들에게 의지하고 있습니다. 그들은 우리가 살아갈 수 있도록 도와주고 지원을 제공해 줍니다. 이러한 지원 덕분에 우리는 삶에 대한 믿음을 갖습니다. 지원 덕분에 우리는 희망을 가지고, 우리 삶에서 부딪히는 장벽을 똑바로 마주해서 극복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잠에서 깨자마자 간병인이 오고 있는지 궁금해합니다. 그리고 이런 생각을 합니다. 내가 과연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을까? 내가 적절한 진통제를 구하지 못하면 고통이 감당할 수 없을 정도가 될까? 나에게 그런 처방을 내릴만하다고 생각하는 의사를 만나지 못하면 어떡하지?”
“제가 지금까지 살아있을 수 있는 이유는 퇴행성 질환을 가진 저를 살아있게 해주는 가능한 최고의 의료적 개입을 받아왔기 때문입니다. 저는 서른 살에 죽었을 수도 있습니다. 그런데 저는 이번 4월에 64살 생일을 맞았습니다. 저는 척수근위축증(SMA)을 가지고 살아가는 사람들 중에서도 최고령자에 속합니다. 그럴 수 있었던 이유는 제가 저의 치료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저의 치료를 위해서 캠페인을 벌이고, 평생 저의 치료를 위해 싸워왔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의료 기술이 저와 함께 발전했기 때문입니다.”
“인공호흡기는 이제 작아졌습니다. 저는 병원 침대에 누워있을 필요도 없고, 철제 호흡장치(iron lung)에 들어갈 필요도 없습니다. 저는 상원의 복도를 둘러볼 수 있고, 동료 의원들보다 가장 먼저 회의에 참석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저는 적절한 지원을 받고 있습니다. 그런 지원이 없다면 아무런 희망이 없습니다. 우리가 사랑하는 사람들에게 짐이 됩니다. 우리를 사랑하는 사람들에게조차도 그것은 힘든 일이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자유를 원합니다. 우리에게는 그런 지원이 필요합니다.”
캠벨은 그런 지원을 받지 못하는 사람들에게 벌어질 수 있는 일을 두려워한다. 권력과 영향력을 가진 지위에 오를 기회가 없는 사람들, 그녀처럼 분명하게 자신의 의견을 말하지 못하는 사람들에게 말이다.
“우리는 장애인들에게 친절한 사회에서 살고 있지 않습니다.” 그녀의 말이다. 그것은 장애를 가진 대부분의 사람들이 동의하고 있는 정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