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팬데믹은 우리를 영원히 바꿨을까? 나는 솔직히 이런 주장에 회의적이며, 장기적으로 보자면 그 중심이 다시 제자리를 찾을 것이라고 믿는다.
그러나 전염병이 시작한 지 거의 3년이 지나 이제 우리가 2023년에 접어들면서
[1], 적어도 근무 패턴에 있어서는 팬데믹 시기의 봉쇄로 인한 변화가 영구화되었다는 징후가 나타나고 있다.
연말 시즌이 되기 전, 시티 오브 런던(City of London·런던의 금융 중심지)에서 그 증거를 볼 수 있었다. 레든홀 마켓(Leadenhall Market)처럼 술집들이 많은 지역은 원래 사람들로 붐비는 곳인데, 내가 찾아갔던 날에는 기이하게도 절반 정도만 차 있었다. 연말 휴가를 앞둔 시기라면 원래 스퀘어마일(Square Mile)
[2]에 있는 사람들은 오랜 친구나 고객과 함께 몇 잔 마시고 자리를 떠났을 것이다. 그러나 내가 찾아갔을 때 그들은 이미 사라진 뒤였다. 원래 그곳에서 이뤄졌을 친목 모임은 집에서 좀 더 가까운 장소에서 이뤄지고 있음이 분명했다. 아마도 서로가 편한 교외의 동네 술집에서 만나고 있었을 것이다.
1층 사업자들은 런던 중심가 위층 사무실에서 근무하는 사람들을 주로 상대한다. 이들을 한번 떠올려 보자. 그들의 장사는 망했다. 겨우 잘 버텨낸 우울한 봉쇄 조치는 끝났지만, 그다음에는 재택근무가 시작됐다. 그것만으로는 부족하다는 듯, 철도와 지하철 파업이 벌어지면서 그들의 장사는 더욱 어려워졌다.
물론 이것이 런던 중심가만의 상황은 아니다. 주5일 출퇴근을 하는 모든 사람에게 의존하는 모든 곳이 마찬가지다. 샌드위치 가게, 미용실, 세탁소, 신발 수선업체, 카페, 셔츠 및 정장 판매업체, 꽃집, 택시, 선물 가게, 식료품점 등등 그 목록은 끝이 없다.
일주일에 겨우 2~3일만 사무실로 출근하는 체계로 전환함에 따르는 피해와 고통은 쉽게 간과되곤 한다. 출근하지 않는 다른 날에는 어떨까? 그때는 무슨 일이 일어나는 걸까? 주5일 출근하는 사람들에게 의지해 생활하던 사람에게 손님이 찾아오지 않는다는 것은 어떤 영향을 미칠까?
《파이낸셜타임스(Financial Times)》의 여론 조사에서 분명하게 드러나는 것은, 조직마다 직원에게 무엇을 요구하고 있는지 의견이 갈린다는 점이다. 대부분의 기업은 혼합 근무를 채택하고 있다. 그중 일부는 직원들에게 주당 며칠씩 사무실에 출근할 것을 요구하는 반면, 다른 기업들은 언제 재택근무를 할지 선택할 수 있는 더 큰 자유를 부여하고 있다.
주 2~3일 출근을 선택한 회사로는 PwC, 소시에테제네랄(Societe Generale), 블랙록(BlackRock), 애버딘(Abrdn), 아비바(Aviva) 등이 있다. 유연 근무를 허용하는 회사는 알리안츠(Allianz), 딜로이트(Deloitte), EY, 로이즈뱅킹그룹(Lloyds Banking Group), 악사(AXA) 등이 있다. 그 결과 런던 금융가는 화요일부터 목요일까지 가장 분주하고, 월요일과 금요일은 훨씬 조용하다.
이 조사는 금융 및 전문 서비스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지만, 이런 경향은 영국 전역의 도시 및 도회지의 중심가, 사무 지구 등에서 반복되고 있는 패턴이다. 놀라운 점은 같은 부문 내에서조차도 그 특성이 동일하지 않다는 점이다. PwC, 딜로이트, EY는 모두 회계 및 컨설팅 기업이지만, PwC가 2~3일 출근을 명하고 있는 반면에 나머지 두 기업은 직원이 각자에게 적합한 방식을 선택할 수 있는 유연한 방식을 채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