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욘드 핸디캡 모든 핸디캡은 가능성이다

미리 보기
저자 김종욱·김완혁·이찬호·김종민·서영채·고연수·고아라
에디터 이다혜
발행일 2022.03.16
리딩타임 101분
가격
전자책 8,400원
종이책 12,000원 서점 구매
키워드
지금, 깊이 읽어야 하는 이유
장애인의 직업은 왜 단순·반복 노동에 한정되어 왔나.
핸디캡을 넘어 좋아하는 일에 도전하는 일곱 명이 모였다.


누구나 삶의 어느 지점에서 장애를 겪는다. 수술 후 일시적으로 거동이 불편해질 수 있고, 사고를 당할 수도 있다. 사고 없는 삶을 살아도 마찬가지다. 시력과 청력이 감퇴하는 노화의 과정은 장애와 같은 선상에 있다. 결국 이 책은 우리 모두의 이야기다. 당장 내 이야기는 아닐지라도 내가 사랑하는 사람이 겪었을 이야기이며, 언젠가 내게도 닥칠 이야기다. 모델 김종욱, 비보이 김완혁, 모델 이찬호, 영화감독 김종민, 모델 서영채, 웹툰 작가 고연수, 발레리나 고아라의 목소리를 담았다.
저자 소개

각기 다른 장애를 안고 자신이 하고 싶은 일을 찾아 나선 일곱 명을 만났다. 모델 김종욱, 비보이 김완혁, 모델 이찬호, 영화감독 김종민, 모델 서영채, 웹툰 작가 고연수, 발레리나 고아라가 직접 말하고 썼다. 이들은 모두 장애 전문 기획사 파라스타엔터테인먼트 소속으로 활동 중이다.

키노트
이렇게 구성했습니다.

1화. 프롤로그; 누구나 한 번쯤 마주할 미래

2화. 김종욱 ; 피할 수 없다면 제대로 즐겨라
간단한 미래
휠체어로 하는 워킹 연습
저러다 말겠지
롤 모델이 없을 때

3화. 김완혁 ; 방송에서 편집된 말들
기회의 땅 서울로
단숨에 대단한 사람이 되다
정부 지원 사업은 어려워
지하철만 타면 신경전
춤이 정말 좋아서 하는 걸까
모든 동정이 나쁜 건 아니다

4화. 이찬호 ; 잃은 것보다 얻은 것에 집중할 때
감각의 절반이 사라지다
피사체의 자격
3대 400에서 4킬로그램으로
장애인과 눈이 마주친다면

5화. 김종민 ; 현실을 영화처럼 만드는 방법
두 시간의 마법이 펼쳐진 뒤
충무로에 발을 들이다
장애인 사위는 결사 반대일세
나의 첫 VIP 시사회

6화. 서영채 ; 지금 멋있는 엄마가 돼야 하는 이유
불공평 박람회
표정을 읽는 마음의 기술
8년의 유랑, 다시 모델로
예의 바른 만큼 차갑다

7화. 고연수 ; 언제 누구에게 찾아올지 모르는
모든 일상이 관계로 이루어지다
괜찮다 싶으면 터지는 문제들
날갯짓이 몰고 온 토네이도
삶의 전환점일 필요는 없다

8화. 고아라 ; 내게 정착한 세 가지 모국어
몸집이 큰 언어
눈으로 듣고 마음으로 읽다
오프로드, 몽골로
랑그와 파롤의 새로운 규칙

9화. 북저널리즘 인사이드 ; 길은 걸을수록 넓어진다
 

에디터의 밑줄

“누군가는 ‘장애는 나와 무관한 이야기야’라고 생각할 수 있다. 어차피 내가 아니니까 말이다. 그러나 반드시 닥칠 미래라면 다르다. 아픈 곳을 수술 후 일시적으로 거동이 불편해질 수 있고, 불의의 사고를 당할 수도 있다. 사고 없는 삶을 살았다 해도 시력과 청력이 감퇴하는 등 누구나 노화의 과정을 겪는다. 결국 우리 모두 생에 한 번은 장애를 안고 살다 죽음을 맞이한다.”

“어릴 적부터 내가 본 장애인의 직업은 늘 정해져 있었다. 주로 공공 기관에서 사무직으로 일하거나 공장에서 물건을 만든다. 나라의 지원으로 일하고 싶은 분야의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기는 하다. 대표적으로 바리스타 자격증 같은 것 말이다. 하지만 스타벅스나 동네 예쁜 카페에서 일하는 걸 본 적이 있는가? 아마 없을 거다. 바리스타가 된 많은 장애인은 복지관 1층 커피숍에서 일하기 때문이다.”

“한 인터뷰에서 ‘다른 비보이들이 넘어지면 웃을 수도 있겠는데, 제가 넘어지면 관객 입장에서 난감할 것 같다’라는 얘기를 했었다. 나는 공연하는 나를 보는 많은 시선들이 진지하다고 느꼈다. 외다리인 나는 무대에 서는 것만으로 많은 박수와 관심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대단한 장애인이 춤을 춘다’라는 인식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극장은 내게 두 시간의 마법이 이뤄지는 공간이었다. 한없는 어둠이 내려앉고 온갖 영화적 상상이 펼쳐진 뒤, 극장을 나오면 세상은 마치 이전에 볼 수 없던 밝은 세계로 바뀌어 있을 것 같았다. 달라진 것이 없고 아무도 변화를 못 느낀다고 하더라도 나만이 느끼는 세상의 변화가 있었다.”

“스무 살이 되기 전 나는 어른들의 삶이 너무 궁금했다. 고등학교 졸업 후 먹고 살기 위해선 돈이 있어야 한다고 들었다. 그런데 일자리가 넓지 않아서 마음이 많이 아팠다. 농아인에게 제일 어려운 건 원하는 일을 하는 것이다. 사실 원하는 일이 아니라 어떤 일이든 농아인은 쉽게 구하지 못한다. 장애인을 위한 일자리 박람회에서 농아인 직업 중 소리와 관련된 직업은 없었다. 몸 관련 직업만 많았다.”

“살아가면서 ‘곧 사고나 질병으로 인해 장애를 갖게 될 것이니 주의하라!’고 미리 알림을 받는 사람이 있을까? 아마 없을 것이다. 누가 어떻게 갖게 될지 모르지만, 누구에게나 함부로 일어나서는 안 되는 일. 그것이 장애라고 생각한다.”

“다른 농인들과 스쿠버 다이빙을 할 때, 우리는 바닷속에서 수어로 소통했다. 본인의 안전이나 감정은 기본이요, 아름다운 풍경을 감상하며 수다 수준의 이야기까지 나눌 수 있었다. 수면 위에선 농인만의 언어인 수어가 물속에 들어가면 장애인, 비장애인 할 것 없이 함께 사용하는 언어였다. 환경에 따라 언어의 주류와 비주류의 경계는 그렇게 쉽게 깨질 수 있다는 것을 부지불식간에 깨달았다.”

코멘트
주어진 일이 아닌, 나에게 잘 맞는 일을 하려는 사람이 늘고 있다. 누군가의 고민은 나의 적성과 능력의 테두리 안에서 이루어지지만, 누군가의 고민은 그 이상의 의지와 결심을 담보한다. 일곱 명의 이야기가 모든 장애인을 대표하진 않는다. 모든 장애인이 사회에 나와 일해야 하는 것도, 목소리를 내야 하는 것도 아니다. 다만 가보지 않은 길은 누군가 걸을 때 넓어진다. 내가 더 좋아하고 잘할 수 있는 일을 찾아 나서는 여정은 비장애인만의 특권이 아니다. 일하고 싶은 누구나 품고 싶은 꿈이다.
북저널리즘 이다혜 에디터
Close